"민간업체 임의로 빌려… 해경, 구조작업 투입 계획 없어"
  •  

  • [사진 =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 트위터 화면캡쳐]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 민간 잠수부가 가져온 '다이빙벨'을 사고현장에 투입하지 않기로 결정한 구조당국이 대학에서 '다이빙벨'을 빌려 현장에 몰래 투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민간업체가 대학에서 빌려온 것이며 구조당국은 '다이빙벨'을 투입할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고발뉴스>와 <팩트티브이(TV)>는 23일 밤 합동방송을 통해 "알파잠수기술공사 이종인 대표가 구조당국의 불허로 다이빙벨을 투입하지 못하고 끝내 발길을 돌린 가운데 해경이 모 대학의 '다이빙벨'을 빌려 현장에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 ⓒ뉴데일리 정상윤
    ▲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 ⓒ뉴데일리 정상윤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는 트위터에 "'위급상황'이라는 요청에 따라 한국폴리텍대학 강릉캠퍼스측이 오늘 오전 빌려줘 오후 사고 현장에 전격 투입된 2인용 다이빙벨. 머리부위만 공기에 노출되는 일본형 장비로 감압에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종인 대표는 <고발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해경이 투입한 다이빙벨은 2인용으로 감압 기능이 없는 일본식"이라며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를 우려해 면피용으로 준비했다면 안될 일"이라고 비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24일 브리핑에서 "다이빙 벨은 해경이 아니라 민간 계약 업체에서 갖다 놓은 것이고, 해경 구조에 이 다이빙 벨을 투입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해경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해경이 대학측에 다이빙벨을 요청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해양구조업체인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가 임의로 빌린 것이며 해경이 관여한 바 없다"라고 말했다.

    '다이빙벨'을 몰래 현장이 투입했다는 의혹과 관련, 현장에서 구조 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해양구조협회 황대식 본부장은 이날 SBS라디오와 전화 인터뷰에서 "투입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일명 ‘물 속 엘리베이터’라고 불리는 '다이빙벨'은 잠수사가 작업하는 작업 목적지까지 도달하게 하는 장치다.

    이종인 대표는 JTBC에 출연해 자신이 2000년에 제작한 '다이빙벨'은 "유속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세월호 사고 현장에 '다이빙벨'을 투입해서는 안 된다고 다음과 같이 입을 모으고 있다.

    "<다이빙벨>은 유속이 느려 모선(母船)이 고정돼야 사용할 수 있는 장비다. 지금 세월호 사고 해역 유속이 6노트에서 7노트 사이다. <다이빙벨>을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실제 구난 작업에 임해보지도 않은 사람이 소아적인 영웅심리에서 책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 바로 <다이빙벨>이다. 진정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을 아낀다면 구조작업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발언을 해서는 안된다."
       - 차주홍 한국산업잠수기술인협회장(SSU 하사관으로 전역한 전문 잠수사)

    "다이빙벨은 해저로 손쉽게 내려가기 위한 장비이지, 유속을 견디기 위한 장비가 아니다. 그 장비는 가장 초보적인 수준의 장비지 첨단 장비가 아니다. 앞이 보이지 않는다. 이게 가장 큰 문제다. 다이빙벨이 그런 것을 해소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잠수부가 연이어 계속 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다이빙벨이 크게 필요치도 않다."
       - 전직 군 잠수요원 출신 K씨(42)

    "이론적으로는 (유속에 상관없이 엘리베이터 형식으로 내려갈 수 있어 20시간 동안 작업이 가능하다는 게) 그럴 수 있지만, 이쪽의 조류가 워낙 세고 탁도가 높기 때문에 부피가 큰 다이빙벨을 선체 내부에 넣지는 못 한다. 다이버에 의한 수색 구조 방법을 사용하면서 그 다이버들이 안전하게 오랜 시간 동안 수색 구조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려할 때, 그런 것(다이빙 벨 등)들도 후차적으로 필요하지만 그걸 설치하기 위해서 우리가 수색 구조 활동을 놓칠 수가 없다."
       -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