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중시… 지지정당·정치성향별로 차이 극명자칭 진보, 다당제 민주주의 없는 중국 중시… 맹목적 선호 경향에 우려
  • ▲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9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지지 정당과 정치 성향 별로 중시하는 국가가 극명히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사고 있다. ⓒ그래픽=뉴데일리 정도원 기자
    ▲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9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지지 정당과 정치 성향 별로 중시하는 국가가 극명히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사고 있다. ⓒ그래픽=뉴데일리 정도원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최고위원의 "역시 중국보다는 미국"이라는 발언을 계기로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지지 정당별로 선호 국가가 극명하게 갈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호불호에 관계없이 국익에 따라 냉정하게 이뤄져야 하는 것이 외교다. 지지 정당·정치 성향 별로 선호 국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현상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조짐으로 보인다. 흡사 친청파(親淸派)·친일파(親日派)·친미파(親美派)·친러파(親露派) 등 지지하는 열강에 따라 국론이 사분오열된 대한제국 말기를 떠오르게 한다는 지적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9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새누리당 지지층은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는 응답이 72.4%로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21.5%)는 응답을 크게 앞섰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은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는 응답이 50.7%로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40.0%)는 응답을 눌렀다.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이 격차가 더욱 확대돼 중국을 지목한 응답(56.2%)이 미국(25.9%)을 압도했다.

    정치권에서는 외교 문제를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최근의 흐름이, 지지 정당에 따라 중시 국가가 달라지는 경향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우려한다. 특정 정당 소속 정치인들이 특정 국가에 대한 외교 정책을 비판하는 횟수가 늘고 강도가 높아지면서, 지지자들조차 '○○당 지지자라면 당연히 △△국 선호'라는 잘못된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방미 중 언행을 가리켜 "우리 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가볍게 여기는 경솔한 발언"이라며 "한미동맹 강화와 한중협력발전을 균형적으로 사고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김무성 대표는 '우리에게는 역시 중국보다는 미국'이라면서 '미국은 유일한 대체 불가능한 독보적 동맹'이라고 했다"며 "대권 행보를 위한 계산된 발언이라고 보기에도 터무니없이 질이 낮다"고 거들기도 했다.

    지지 정당 별로 갈린 선호 국가는 이른바 '정치 성향'에 따른 응답 분류에서는 더욱 분명히 드러났다.

    자신을 스스로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는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한다"는 경향(72.0%)이 중국 중시(23.3%)에 비해 압도적이었다. 반면 '진보'라고 밝힌 응답자는 중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53.5%)이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40.9%)보다 강했다.

    진보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중시해야 할텐데, 자유선거와 다당제 민주주의가 보장되지 않고 소수 민족에 대한 인권 탄압이 이뤄지고 있는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중시한다는 것이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미국·중국에 대한 선호가 논리적인 판단의 산물이 아니라, 자신의 지지 정당이나 정치 성향에 따라 맹목적으로 연결지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정치권 관계자는 "자칭 진보들의 필독서였던 '8억 인과의 대화'가 아직까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냐"고 혀를 찼다. '8억 인과의 대화'는 좌파 지식인 리영희 교수의 저서로, 중국의 좌경맹동주의와 문화대혁명을 미화해 우리나라 자칭 '진보'들의 성향을 친중국적으로 바꿔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이번 리얼미터의 긴급 여론조사는 29일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으로 성·연령·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를 보정했다. 응답률은 4.7%로 최종 응답자가 500명이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