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 보건소 에이즈 신속검사 도입후 검사 건수 6.9배 늘어
  • ⓒ서울시
    ▲ ⓒ서울시

    질병관리본부의 'HIV/AIDS(에이즈) 신고현황'에 따르면 내국인 에이즈 감염인 수는 2014년 기준 1만 1,504명으로 2013년 대비 약 10.4%(1,081명)의 환자가 새로 발견됐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900명 내외로 에이즈 감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시중에서 보는 에이즈 환자 추정 수는 단위가 다르다. 일각에서는 국내 에이즈 감염 환자가 최대 30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이런 주장이 나오는 배경에는 현재 정부에서 에이즈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때문에 그렇다. 질병관리본부의 자료 제목이 'HIV/AIDS 신고 현황'이라고 되어 있는 것처럼, 1만 1,000여 명이라는 수치는 모두 자진해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사람 가운데 확진을 받은 사람들의 수에 불과하다.

    동성연애자, 아프리카에서 온 불법체류자와 동거했던 여성, 난잡한 성생활을 즐긴 사람들, 해외 섹스여행을 즐겼던 사람들 가운데서도 HIV/AIDS 보균자가 있을 텐데 이들에 대해서는 '강제적'으로 검사하지 못하도록 법률로 막아놓고 있다. '에이즈 환자의 인권' 때문이다.

    특히 서울시는 HIV/AIDS 감염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동성연애자'에 관대한 지자체다. 오는 6월 동성애자 축제인 '퀴어축제'를 서울시청광장에서 열도록 허락해 주기도 했다.

    이 때문일까. 18일 서울시는 'AIDS 신속 검사법을 안심하고 받으라'는 보도자료를 내놨다.

    해당 보도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측은 "에이즈 간편 신속 검사법을 통해 혈액 한 방울로 20분 만에 검사가 가능하다"고 자랑했다. "검사를 받은 사람 가운데 96.7%가 만족했으며 거주지, 국적에 관계없이 누구나 보건소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다"는 설명도 곁들여져 있다.

    그런데 보도 자료 내용을 보면 고개가 갸우뚱 거려진다. 

    "…서울시는 전 자치구 보건소에 '에이즈 신속검사법'을 전면 도입한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검사 건수는 20,987건으로 도입 전인 2013년 한 해 3,045건보다 약 6.9배 늘어났다. 양성자 발견 건수도 2013년 77건에서 지난해 3∼12월 116건으로 1.5배 증가했다.(하략)"

    주목할 부분은 또 있다. "에이즈 신속검사법이 도입된 이후, 에이즈 양성 발견건수가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 같은 부분은 사실 국내에서는 HIV/AIDS 감염 여부를 강제적으로 확인할 수 없고, 동성애 자체가 도덕적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힘을 쥐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때문에 자발적으로 검사를 받는 경우가 아니면 본인이 '에이즈 보균자'인지를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서울시에서 제공한 보도자료에도 이런 점이 나타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에이즈는 질병 특성상 본인도 감염된지 모른채 일정기간 지내는 경우가 많고 감염증상이 발현되더라도 검사를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며 "에이즈 신속검사 제도는 조기·간편검사를 통해 조기 치료로 감염자 자신과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4년 질병관리본부 통계 상으로 서울에만 3,800여 명의 에이즈 환자가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인권' 및 '개인정보보호' 등의 문제로 인해 얼마나 더 많은 에이즈 보균자가 있는지는 짐작도 못하고 있다. 올해가 2016년임에도 2015년 통계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는 점도 에이즈 보균자 관리 실태를 짐작케 한다.

    서울시 측은 "검사를 받은 뒤 이상 소견이 나타나면 서울보건환경연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해 최종 확인 여부를 판정받고, 감염 사실이 확인된 후에는 치료를 원하면 정부와 서울시가 치료비를 전액 부담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에이즈 보균자'와 '에이즈 환자'의 인권을 극진히 배려해주기 때문일까. 서울시는 동성애자들의 축제인 '퀴어축제'를 오는 6월 서울시청광장에서 열도록 허락해 준 상태다.

     
  • 서울시는 지난해 3월부터 모든 보건소에 에이즈 신속검사를 도입한 바 있다.ⓒ서울시
    ▲ 서울시는 지난해 3월부터 모든 보건소에 에이즈 신속검사를 도입한 바 있다.ⓒ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