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5일 오후 8시 30분경 울산 동구 해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사진=연합뉴스
    ▲ 지난 5일 오후 8시 30분경 울산 동구 해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5일 저녁 8시 30분경 울산 동구 52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5.0 지진으로 인해 부산과 울산 일대에 분산해 있는 고리 원전의 안전 문제에 대한 논란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에 발생한 지진이 대형 지진의 전조현상이 아니냐하는 우려가 제기되며 원전 위험과 노후된 지역 건물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탈핵부산시민연대 등의 일부 시민단체들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지난 6일 보도성명을 내고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쓰시마고토 '활성단층'이 고리원전 앞바다에 지나고 있다는 점을 들며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부산에는 기장군 장안읍 고리 1~4호기, 신고리 1~2호기가 있고 울산에는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3~4호기가 있다. 이에 최근 공사를 시작한 신고리 5~6호기를 포함하면 총 10기의 원전이 있는 세계 최대의 원전 단지가 된다.

    하지만 지난 5일 발생했던 울산 지진과 쓰시마고토 활성단층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한반도에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한 가능성은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국내 원전은 규모 6.5 지진에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고 신고리 3~4호기부터는 규모 7.0이상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기준이 강화됐다"며 "규모 5.9 ~6.8의 지진이 감지되면 원자로는 자동 정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원전 안전문제만큼 더욱 시급한 점은 부산의 노후 건축물 비율이 60%에 달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988년 시행된 건축법에 따르면 3층 이상 또는 연면적 500㎡이상의 건물을 설계할 시에는 반드시 내진설계를 의무로 하지만 그 이전에 설계가 완료된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설계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마저도 건물 외벽 타일이나 유리 등의 외장재는 내진설계 기준에 적용을 받지 않아 지진이 발생할 시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제기되고 있다.

    부산시가 지난 10월 실시한 '공공 시설물 내진실태조사'결과에서는 1645 곳의 조사대상 가운데 내진 설계가 적용된 곳은 330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부산지역의 지진 대피소 302곳 중에서도 내진 설계를 적용한 곳은 129곳에 불과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집계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34회이고 규모 3.0 이상의 지진 발생횟수는 8회로 평년치보다 발생횟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특히 고층건물과 노후건물의 비율이 높은 부산지역에서는 지진에 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