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신문에 게재한 물가통계...구한말의 경제와 역사
  • 한성순보(漢城旬報)·한성주보(漢城周報)의 시직탐보(市直探報)*
    - 우리나라 최초의 물가통계 - 

    신 한 풍 /고려대학교 명예교수(통계학)
  • I. 머리말
    1883년 10월 31일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신문인 한성순보(漢城旬報)와
    그 뒤 1886년 1월 25일 발간된 한성주보(漢城周報)에 시직탐보(市直探報)라는 표제아래
    최초의 공식 ‘물가 통계’표가 게재되었다.
  • 정부가 발간한 이 두 신문에 나오는 미전(米廛:상미․중미․하미․小豆․大豆), 어물전(魚物廛:북어․미역), 지전(紙廛:장지․상백․중백․하백), 유철전(鍮鉄廛:숙철․동․유철), 산전(散廛:땔나무․숯․소금), 과자전(菓子廛) 또는 우전(隅廛:대추․밤), 입전(立廛) 또는 선전(線廛:모초․갑사), 면포전(綿布廛:상․중․하․양면), 면주전(綿紬廛:상․중․하․시면), 저포전(苧布廛:상․중․하), 그리고 마포전(麻布廛:상․중․하) 등의 36개 품목의 물가통계가 그것이다.
 한성순보는 10일마다 1883년 10월 31일에서 1884년 10월 9일까지 36호가 발간되었고,
한성주보는 7일 간격으로 1886년 1월 25일부터 1888년 1월 23일까지 99호가 발간되었으나,
 결측자료(missing data)로 인해 39호 만이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보와 주보의 시직탐보에 게재된 36개 품목의 물가통계를 시계열(時系列)로서 표시하였다. <아래 부록 도표 참조>

II. 육의전(六矣廛)․육주비전(六注比廛)

시직탐보에 게재된 물가통계가 육의전(六矣廛) 또는 육주비전(六注比廛)을 통하여 공표되었으므로 시전(市廛)의 역할을 간략하게 설명하려한다.

 조선은 건국 초 수도를 개성으로부터 한성으로 이전하면서 태종 10년(1410)부터 종로 일대에 대규모 행랑을 짓고 시전(관립시장점포)을 개설하였다. 시전에게 그 대가로 국가에 일정한 국역을 부담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시전은 ‘一物一市’가 원칙이었다.

그러나 미전(米廛)의 경우는 시민들이 매일 소비하는 생필품이기 때문에 一物一市의 원칙을 적용할 수 없어 상미전(上米廛)과 하미전(下米廛) 그리고 잡곡전의 세 미전이 각각 영업구역을 달리하면서 공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참고한 자료는 「관훈클럽 신영연구기금」에서 출간한 한성순보․한성주보의 
 번역판과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한 한성순보 영인본임을 밝혀둔다.)

  • 조선시대 육주비전의 하나, 종로 미곡전.(자료사진) 멀리 북악산 봉우리가 보인다.
    ▲ 조선시대 육주비전의 하나, 종로 미곡전.(자료사진) 멀리 북악산 봉우리가 보인다.
  •  
    상미전의 위치는 지금의 광화문 네거리와 종로 네거리의 중간쯤에 있었고
    하미전은 종로3가 종묘 입구 부근에 위치하였다.
    잡곡전은 지금의 종로2가 철물교 바로 왼쪽에 있었다.
     한양이 도읍으로 정해진 뒤, 입전(立廛)이 가장 먼저 섰으므로 서울의 백각전(百各廛)·육주비전(六注比廛)의 으뜸이다.
    이곳에서는 주로 중국산 비단을 거래하였고 선전(線廛·縇廛)이라고도 불렀다.

    두 번째는 지금의 종로1가 일대에 자리하면서 국산 비단만을 판매하는 면주전(綿紬廛)이 있었다. 세 번째는 질이 좋은 전라도 강진·해남과 경기도 고양의 상품(上品) 무명옷감 그리고 질이 낮은 하품(下品) 무명옷감 따위를 거래하는 면포전(綿布廛)과,
    네 번째로 지금의 종로3가 일대에 자리하면서 모시를 거래하는 저포전(苧布廛)도 있었다.

    다섯 번째로 지금의 남대문1가 일대에 자리하면서 크고 두껍고 질긴 후지·장지(厚紙·壯紙), 강원도 평강의 상백지(上白紙), 편지용으로 쓰이는 화초지 등을 취급하는 지전(紙廛)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는 종로에 자리한 내어물전(內魚物廛)과 서소문 바깥에 자리한 외어물전(外魚物廛)을 합한 내·외물전 등 도성 안의 여섯 개 집단 시전을 통칭하여 흔히 육의전 또는 육주비전이라 불렀다. 감독 기관으로는 경시감(京市監)을 설치해 시내 상업교역에 관한 물가조절, 상세(商稅)징수 등을 주관하게 하였다.
  • 조선 육주비전의 하나, 남대문 시전.(자료사진)
    ▲ 조선 육주비전의 하나, 남대문 시전.(자료사진)

  • III. 조선미의 일본 수출과 일본미의 조선 수입

    <표1>은 개항 이후 조선미의 대일본 수출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개항 직후 조선미의 대일 수출은 그 양이 많지 않았으나 조금씩 증가하여 1877년에는 474석, 1879년에는 70,635석, 1880년에는 93,288석으로 급증하다가 그 이후 하락추세를 보였다.
     조선미의 수출은 1884년 43석으로 최저점을 보인 후 다시 상승추세를 보였다.

  • 쌀 수출의 증감을 자세히 보면 1882년부터 1888년까지는 임오군란, 동학란, 청일전쟁, 갑신정변 등 연이은 정치사회의 격변으로 수출은 별로 늘지 않거나 감소 추세를 보였다. 개항 이후 조선은 쌀을 일본으로 수출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조선은 작황이 흉작일 경우는 일본으로부터 쌀을 수입하기도 하였다. 1885~1889년은 조선의 작황이 흉년이어서 쌀값이 오르자 일본의 쌀이 조선에 수입되었다.
    <표2>는 조선의 일본미 수입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 조선의 쌀 수출 증가는 쌀값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조선 내에서의 쌀 공급 부족을 가져와 가난한 백성들의 식생활 수준을 열악하게 만들었다.
    1886년 흉작으로 조선의 쌀값이 폭등하자 일본 상인들이 일본미 246,202담(擔)을 조선으로 수출하였다.(표2 참조)
    정부는 쌀값 폭등의 원인을 각 도의 관찰사와 군수들이 흉년을 핑계 삼아 마음대로 방곡령(防穀令)을 내려 쌀이 타지방으로 팔려나가지 못하도록 막은 다음, 쌀값이 떨어지면 국고에 상납할 세금으로 쌀을 구입하여 비싼 값으로 외국상선에 팔기 때문이라고 「협성회보」(배재학당 학생회신문)는 광무2년 4월 2일자에 보도하였다.
    「한성순보」는 1883년 농형장계(農形狀啓)에서 농산물 작황을 십여 차례에 걸쳐 보도하였다.
  • 1905년 촬영한 고종의 사진.
    ▲ 1905년 촬영한 고종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