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거쳐 美-中 연쇄 정상회담, 일본 측과도 정상회담 일정 조율 중
  • ▲ 해외 순방길에 오르는 박근혜 대통령이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 손을 흔들고 있다. ⓒ뉴데일리
    ▲ 해외 순방길에 오르는 박근혜 대통령이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 손을 흔들고 있다. ⓒ뉴데일리

     

    박근혜 대통령이 2~9일까지 이어지는 해외 순방에서 4강(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과 연쇄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이후 처음으로 갖는 4강(强) 정상외교다. 우리 외교 역량이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먼저 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제2차 동방경제포럼(EEF)에 주빈으로 참석해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과 한-러 정상회담을 한다.

    이어 4~5일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얼굴을 맞댄다.

    7~8일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개최되는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및 EAS(동아시아정상회의) 참석 기간 중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도 예정돼 있다. 비슷한 시기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 개최도 유력시된다. 현재 조율 중인 상태다.

    연쇄 정상회담의 의제가 무척이나 조심스럽다.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

    북한의 핵(核) 미사일이 언제 발사될지 모르는 민감한 시기다.

    북한이 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 최근 일본 방공식별구역에 떨어져 유엔 안보리가 긴급소집됐다. 김정은 정권은 핵(核) 미사일 위협을 노골화하며 연일 우리 정부와 미국을 비난하고 있다.

    급기야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은 핵무기 소형화를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만약 탄도미사일에 핵을 탑재하게 된다면 우리 국가와 민족의 생존이 위태롭게 될 것"이라고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중국의 왕이(王毅) 외교부장을 만난 자리에서 "북한 핵미사일이 중국을 겨냥할 수도 있다"는 취지의 경고성 발언까지 날렸다.

    결국 핵심은 북한의 핵(核) 포기를 끌어내기 위한 대북협력과 한반도 사드 배치의 당위성을 알리는 설득(說得)외교다.

     

  • ▲ 한반도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시진핑 중국 주석. ⓒ중화권 매체 NTD TV 화면 캡처
    ▲ 한반도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시진핑 중국 주석. ⓒ중화권 매체 NTD TV 화면 캡처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1일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북핵(北核) 불용과 이를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이행에 대한 국제사회의 연대를 더욱 강화하는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규현 수석은 또 "박 대통령은 아세안과 4강 정상들이 모두 참석하는 역내 최고의 전략포럼인 EAS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통해 북핵 불용의 확고한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지속 협력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나아가 박근혜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EEF) 기조연설에서 러시아 극동지역 협력비전과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러시아는 극동개발을 위해 박 대통령을 행사 주빈으로 초청하는데 상당한 공을 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규현 수석은 "양국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러시아의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의 경제협력을 계기로 푸틴 대통령의 사드 반대 입장을 뒤집을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중국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라오스로 향하는 박근혜 대통령은 분냥 보라칫(Bounnhang) 대통령과도 정상회담을 한다. 양국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재수교 이후 20년 간 양국관계를 평가하고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한다.

    특히 북핵(北核) 문제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안 2,270호의 충실한 이행과 북한의 핵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적 연대를 지속해 나가는데 아세안 의장국인 라오스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미국-일본' 우리 안보 방향와 궤를 함께하는 2강과는 대북공조 체제를 재확인할 방침이다. 오바마 대통령과 끈끈한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개최가 유력시되는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도 북핵 포기를 끌어내기 위한 대북제재 강화 방안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관측된다. 

    문제는 중국이다. 조중동맹(북중동맹)의 부활 기류가 흐르는 상황이다. 사실상 북한과 손을 잡은 중국을 어떻게 설득할지에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양국이 큰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정상들이 직접 만나 관련 문제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꽉막힌 정국을 뚫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 해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