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대북 육로 수송금지' 관련해서는 미온적 태도 보여…中외교부도 '묵묵부답'
  •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기 위한 유엔 안보리의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 추진과 관련해 중국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지난 22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회담에 참석한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연합뉴스TV'중계영상 캡쳐
    ▲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기 위한 유엔 안보리의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 추진과 관련해 중국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지난 22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회담에 참석한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연합뉴스TV'중계영상 캡쳐

    북한의 5차 핵실험 실시 이후 더욱 강력한 대북 제재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이하 유엔 안보리)의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 채택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22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우다웨이(武大偉) 中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회담 및 만찬협의를 가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5시간에 걸친 이번 회동에서 양측 외교 당국자들은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제재뿐만 아니라 북핵 개발을 지원한 것으로 지목된 '훙상그룹' 문제와 한반도 내 '사드(THAAD)' 배치 등 공통 관심사와 관련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한다.

    김홍균 본부장은 23일 駐中 한국대사관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우다웨이 대표와의 회동 결과를 설명하면서 "한·중 양국은 북한의 핵실험에 엄중한 우려를 공유했다"면서 "어떤 상황에서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에 대가를 치르도록 국제사회가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면서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더욱 강력한 신규 결의 도출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기존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의 충실한 이행과 신규 결의 채택과정에 있어서도 한·중 양국은 전략적인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번 만남이 화기애애했던 것만은 아니었다고 한다. 김홍균 본부장이 5차 핵실험에 대한 대북제재로 북한으로 가는 '육로 수송금지'를 우다웨이 대표에게 요청했지만 미온적인 반응만 되돌아 왔다고 한다.

    이와 관련, 中관영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이 북한 딜레마에 직면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중국은 북한이 핵실험을 통해 국제사회에 도전하고 있는 것에 대응해야 하고, 한편으로는 미국과 한국이 강력한 대북제재를 요구할 때, 북한 정권의 불안정과 인도주의적 위기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中정부는 이번 양국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회동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문제에 대해 논의가 있었음을 밝혔으나, 육로 수송금지와 관련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한다.

    루캉(陸慷) 中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한반도 문제 당사국들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우다웨이 대표가 어제 김홍균 본부장을 만나서 협상했으며, 쌍방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 유지와 관련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한편 회담에서 '사드(THAAD)' 문제와 관련된 내용이 언급됐다는 것은 알려졌으나, 서로 어떠한 이야기를 주고받았는지는 전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19일 리커창(李克强) 中국무원 총리가 버락 오바마 美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한반도 내 '사드(THAAD)' 배치에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어, 중국 측은 기존의 반대 입장을, 우리 측은 '사드(THAAD)'가 순수 방어적 조치임을 언급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