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수송분담률(39%) 고려하면 120만 이상 참가?광화문 일대 도로교통 차단된 점 감안하면 수송분담률 ↑

  • 서울시는 지난 13일 오후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통계자료를 인용해 전날 촛불집회 장소 인근 역사 이용객 수가 전년 대비 50만명 이상 증가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 자료에서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대규모 집회가 열렸던 지난 12일 광화문 광장 일대 12개 지하철 역사 이용객수가 2015년 11월 토요일 평균 대비 승차 기준으로 49만 6천여명, 하차기준으로 51만 5천여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하차 역사에서 재승차해 중복 집계되는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이 날 집회 장소 인근 역사 이용객 수가 전년 대비 50만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서울시는 주장했다.

    나아가 서울시는 "지하철의 수송분담률이 39%(2014년 기준)이고, 인근 정류소에서 하차한 버스 승객과 전세버스 및 철도를 이용해 지방에서부터 올라온 승객까지 고려했을 때 집회 주최 측의 집계(100만명 이상 참가)는 허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서울시는 하차 역사에서 재승차한 승객들의 숫자가 정확히 얼마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만약 늘어난 역사 이용객 수의 상당수가 재승차한 승객들이었다면 이들을 '집회 참가자'로 편입시킨 서울시의 자료는 커다란 오류를 안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단순히 지하철 이용객의 증감만 비교한 숫자는 '100만명의 시민이 참가했다'는 주최 측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통계 자료로 적절치 못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 통계 전문가는 "이 날 대대적인 시위로 인해 서울 시내 곳곳이 차단됐던 상태임을 감안하면 평소의 지하철 수송분담률(39%)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며 "따라서 역사 이용객 수가 평소보다 늘어난 것은 지하철의 수송분담률이 엄청 높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 상당수가 다른 차편으로 갈아타거나 인근 역에서 재승차한 승객들이었다면 해당 통계는 무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 날 서울시의 보도자료를 인용, "주최측의 '100만명 참여' 주장에 큰 무리는 없었다"는 논리를 편 언론사도 "하차한 사람이 나중에 인근 역에서 다시 승차한 경우가 많아 중복 계산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12개 노선의 지하철역 이용자를 모두 집회 참여자라고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 언론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10명 가운데 4명 정도가 지하철을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해 계산하면 모두 126만여명이 집회에 참가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서울시가 주장한 지하철 수송분담률(39%)을 곧이곧대로 적용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