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만 불법체류자 가운데 범죄자 200~300만부터 추방…국경 정상화가 최우선 과제
  • ▲ 지난 13일(현지시간) 美CBS 방송의 '60분'과 당선 이후 첫 인터뷰를 한 도널드 트럼프는 취임 후 불법체류자 문제부터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美CBS '60분' 홈페이지 캡쳐
    ▲ 지난 13일(현지시간) 美CBS 방송의 '60분'과 당선 이후 첫 인터뷰를 한 도널드 트럼프는 취임 후 불법체류자 문제부터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美CBS '60분' 홈페이지 캡쳐


    도널드 트럼프 美45대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과 동시에 불법체류자 가운데 범죄자들부터 먼저 강제추방하고, 미국 국경 안전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美CBS 뉴스는 지난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자가 당선 후 첫 TV인터뷰로 ‘60분’에 나와 밝혔던 인터뷰를 정리해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자는 美CBS 방송의 ‘60분’에서 자신의 핵심 공약과 향후 정책기조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인터뷰의 시작은 그동안 미국이 대외정책에만 집중하다보니 국내 문제에는 제대로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는 지적이었다. 그는 특히 미국이 중동 문제에 적극 개입하면서 ‘6조 달러’를 사용했다고 주장하면서 “이 돈이면 미국을 재건하는데 충분한 비용”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당선자는 오바마 정부가 그동안 펼쳐 온 대외정책을 비판하면서 자신이 취임하면 첫 번째 정책으로 불법체류자 가운데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강제로 추방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불법체류자 가운데 범죄자들, 전과기록이 있는 사람들, 조직폭력배, 마약범죄자 등이 200만 명에서 300만 명가량 될 것으로 본다”면서 “이들은 추방 또는 강제 수용될 것이며, 결국 우리나라에서 쫓겨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우리는 불법체류 범죄자 강제 추방을 통해 국경 안전을 ‘정상화’하는 게 목표다. 美연방 이민국 관리들은 이어 미국에 살고 있는 끔찍한 불법체류자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검토 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미국 내 불법체류자들이 세금은 거의 내지 않으면서 복지혜택은 모두 받고 있는 탓에 국민들의 세금이 알맞은 곳에 쓰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美국민들을 옥죄는 세금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수많은 불법체류자들을 ‘자기네 나라’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뜻이었다.

    참고로 美연방정부는 2016년 현재 미국 내 불법체류자 수는 1,200만 명 내외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이 멕시코 출신과 중국 출신이다. 한국인 불법체류자 또한 2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럼프는 또한 ‘멕시코 국경 장벽 건설’에 대해서도 답했다. 그는 “장벽은 분명히 건설할 것”이라면서 “대부분의 지역은 말 그대로 장벽이 되겠지만, 일부 지역에는 울타리가 쳐질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멕시코와의 장벽 건설에 드는 비용은 멕시코 정부가 부담하도록 할 것”이라며 “우리는 그 비용을 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또한 현재 美주요 도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반대 시위’와 관련해 “그들은 당신의 정책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절대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면서 “내가 하려는 것은 그저 미국을 미국인의 품 안으로 다시 가져오려는 것일 뿐”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진행자가 “당신이 당선된 이후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흑인, 중남미 사람 등을 비난하고 위협하고 있어 이들이 두려워 한다”고 지적하자 “그런 말을 처음 듣는다”면서 “만약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당장 그만두라’고 이 자리에서 당부한다”고 카메라를 바라보며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이 밖에도 ‘오바마 케어’ 문제와 대외전략, 힐러리 클린턴 美민주당 대선후보에 대한 특검 실시 등에 대해서도 문답을 주고받았다. 하지만 ‘불법체류자 대응정책’을 최우선으로 내세운 것은 그의 향후 정책이 ‘국내’ 문제부터 시작해 ‘해외’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美CBS의 ‘60분’에 나온 트럼프가 멕시코와의 국경 문제, 불법체류자 처리 문제를 특히 강조한 점은 향후 미국 내 치안 유지와 비자, 원정출산 불허, 불법체류에 대한 처벌 강화와 함께 이와 관련이 있는 멕시코, 중국, 한국,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와의 외교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