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식량지원→ 식량값 폭락→ 뙈기밭 北농민들 더욱 궁핍
  • ▲ 북한 수해지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식량지원이 오히려 식량값을 폭락시켜 일부 북측 주민들이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 9월 발생한 북한 홍수관련 美'CNN' 보도 일부.ⓒ美'CNN' 중계영상 캡쳐
    ▲ 북한 수해지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식량지원이 오히려 식량값을 폭락시켜 일부 북측 주민들이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 9월 발생한 북한 홍수관련 美'CNN' 보도 일부.ⓒ美'CNN' 중계영상 캡쳐

    기아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들을 위한 국제사회의 대북식량지원이 오히려 장마당에서의 식량 가격 폭락을 초래, 뙈기밭 농사로 살아가는 북한 주민들을 더욱 궁지로 몰고 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RFA)'는 지난 7일 대북 소식통들을 인용해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면서 북한의 식량가격 폭락으로 주요 강냉이 생산지인 북부 수해지역 주민들이 곤경에 처해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 파견돼 활동하고 있는 북한의 한 무역업자는 '자유아시아방송'에 "지난 11월 한국의 한 민간단체가 심양(瀋陽)에서 노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민족화해협의회(북측 민화협) 간부들과 만나 수해지역 주민들의 식량지원 문제를 토의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한국 민간단체가 만난 북측 인사들은 민화협 간부들이 아닌 국가보위성 산하 해외반탐국 요원들이라고 지적했다.

    소식통은 또 "북측 민화협은 통일전선부에 이름만 있을 뿐 실체가 없는 조직"이라고 지적했다.

    이 소식통은 "한국의 '우리민족서로돕기'와 '우리겨레하나되기'라는 단체가 함경북도 수해지역에 식량을 보내려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런 단체들의 대북지원은 북한 장마당의 식량가격을 떨어뜨려 수재민들을 더욱 곤경에 몰아넣게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 소식통은 최근 한국의 민간단체의 대북 식량지원으로 실제 도움을 받은 사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무턱대고 보낸 식량지원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만 말했다고 한다.

    이 소식통은 "한국의 민간단체뿐 아니라 국제사회도 북한의 식량지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면서 "북한에 대한 무조건적인 식량지원은 농민들과 뙈기밭 농사에 의지해 살아가는 주민들, 장마당 장사로 끼니를 이어 가는 주민들 모두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자유아시아방송'에 "수해지역 주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옥수수 농사로 생계를 이어가는 북부 수해지역 주민들이 어렵게 된 이유는 수해복구 인력이 철수한 후 강냉이 가격이 1kg당 내화(북한 돈) 8백 원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북한 장마당을 활성화시키는 동력도 식량인데, 거듭되는 가격 하락으로 장마당에서 돈이 회전을 못 한다"면서 "무엇보다 하루벌이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가장 위태로워졌다"고 덧붙였다.

    북한 주민의 비참한 실상도 전해졌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자유아시아방송'에 "강냉이를 팔아 생계를 이어가던 한 농민이 '내고향' 솜동복(패딩점퍼)을 사달라고 떼쓰는 14살짜리 딸을 구타해 사망에 이르게 되자 목을 매 자살한 사건이 지난 4일 무산군 주초리에서 발생했다"고 전했다.

    또한 소식통은 "내고향 상표의 솜동복은 장마당에서 최하가격이 중국인민폐 350위안(한화 약 6만 원), 내화로 40만 원이 넘는다"면서 "농민들과 뙈기밭 농사에 의지해 사는 사람들이 동복 한 벌을 사려면 강냉이 500kg을 팔아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지난 9월 태풍 '라이언록'의 영향으로 큰 수해피해를 입은 북한의 두만강 유역 지역에 대한 수해 복구 지원에 대해서 사실상 불가 방침을 유지해왔다. 이는 북한이 수해복구 지원을 요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외화벌이를 통해 번 돈을 핵·미사일 개발에 들이붓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