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여행업계 관계자, 분위기 따라 언제든지 조정할 수 있다고 말해"
  •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일각에서 중국의 ‘사드(THAAD)’ 보복 조치 철회 등 한-중 관계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中공산당 기관지가 이를 우회적으로 걸고 넘어져 눈길을 끈다. 사진은 관련 '환구시보' 기사 일부.ⓒ中'환구시보' 홈페이지 캡쳐
    ▲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일각에서 중국의 ‘사드(THAAD)’ 보복 조치 철회 등 한-중 관계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中공산당 기관지가 이를 우회적으로 걸고 넘어져 눈길을 끈다. 사진은 관련 '환구시보' 기사 일부.ⓒ中'환구시보' 홈페이지 캡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일각에서 중국의 ‘사드(THAAD)’ 보복 조치 철회 등 한-중 관계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中공산당 기관지가 이에 딴죽을 걸었다.

    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22일 “최근 한국 정부가 파견한 방중 특사단과 ‘일대일로(一带一路)’ 국제 협력 포럼에 참석한 정부 대표단이 중국 측의 융숭한 대접을 받았다”면서 “이는 한국 언론들의 다양한 분석을 내놓게 했다”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이 중 일부 한국 매체는 ‘중국이 사드 보복조치를 거둬, 다음 주쯤 중국 단체 여행객들이 한국에 상륙할 것’이라고 낙관적으로 전망했다”면서 “반면 또 다른 매체는 사드 보복조치의 장기화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환구시보’는 그러면서 ‘KBS’, ‘연합뉴스’, ‘뉴스1’ 등 국내 언론들의 보도를 기사에 소개했다.

    ‘환구시보’는 ‘뉴스1’의 지난 21일 보도를 언급하며 “해당 매체는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 중 하나인 한국 단체관광 금지령이 조만간 해지될 것’이라고 한국 관련 업계에 대해 낙관적으로 예측했다”면서 “한 여행업계 관계자를 인용, ‘현재 중국 내에서 한국 여행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고 전했다.

    ‘환구시보’는 “해당 보도에는 ‘한동안 한-중 교류가 중단됐으나 이 역시 다시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며, 부산시는 이미 중국에서 여행 홍보활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면서 “(이에 대한 근거로) ‘지난 3월 폐쇄한 롯데마트 중국 사이트는 최근 다시 열었고, 중국 인터넷 상에서도 한류 문화 영상과 한국 연예인 소식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환구시보’는 이어 ‘KBS’의 지난 20일 보도를 소개하며 “한국 KBS는 ‘한국 여행업계가 현재 중국 관광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면서 “KBS는 한 여행업계 관계자를 인용, ‘中정부가 아직 입장을 바꾸지 않았으나 (사드 보복조치가) 느슨해질 징조가 보이고 있고, 일부 중국 여행사에서는 최근 한국 방문 비자 대행업무를 재개했다’고 보도했다”고 언급했다.

    ‘환구시보’는 ‘연합뉴스’의 21일자 보도를 인용하며 “해당 매체는 ‘사드로 인해 영향을 받은 한국 면세점 및 화장품, 여행, 엔터테인먼트 관련 업계의 주가가 15~19일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이는 한-중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치가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고 덧붙였다.

    ‘환구시보’는 “알리바바 산하 여행플랫폼 ‘페이쥬(飛猪)’는 지난 21일 환구시보 기자에게 ‘한국 내 테마파크나 호텔 등을 예약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최근 다소 늘어났다’고 말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 환구시보 기자는 해당일에 페이쥬 사이트를 찾아봤으나 한국 자유여행, 단체여행 등의 상품을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국 언론들의 보도를 반박했다.

    ‘환구시보’는 “당시 페이쥬 관계자는 환구시보에 ‘한국 여행 상품에는 변화가 없지만, 분위기에 따라 언제든지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환구시보’는 ‘사드 보복조치 철회에 대한 낙관론’을 경계하는 내용의 보도를 내놓은 ‘아시아경제’, ‘뉴시스’의 기사를 언급하며 “대다수의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 내 사드가 완전히 철거돼야만 사드 보복조치를 철회할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환구시보’의 보도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은 피하면서, ‘선(先) 사드 철회, 후(後) 보복조치 철회’라는 중국 정부의 공식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