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수출 빨간불... "반핵단체 거짓선동에 속지 말라" 일침
  • 세계적인 환경운동가 쉘렌버거가 12일 대한상공회의소 세미나실에서 '신고리 5, 6 공론화 시민참여단에게 드리는 미국과학자, 환경단체들의 공개서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한국원자력학회 제공
    ▲ 세계적인 환경운동가 쉘렌버거가 12일 대한상공회의소 세미나실에서 '신고리 5, 6 공론화 시민참여단에게 드리는 미국과학자, 환경단체들의 공개서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한국원자력학회 제공


    세계적 환경운동가로 불리는 미국의 마이클 쉘렌버거 환경진보 대표가 "과거 그린피스와 반핵(反核) 단체에서 일했지만 과거의 행동이 부끄러워 속죄하는 마음으로 원전(原電)에 대한 진정한 사실을 알리고 싶다"고 털어놨다.

    쉘렌버거는 12일 대한상공회의소 세미나실에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시민참여단에게 드리는 미국 과학자·환경단체들의 공개서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말했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최종조사를 3일 앞둔 시점에서 다시 한번 원전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기 위해 나선 것으로 보인다.

    쉘렌버거는 2008년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환경의 영웅'과 '그린 북 어워드'를 수상한 환경정책 전문가다. 그는 당초 반핵을 주장했지만 연구를 하다 보니 찬핵 입장으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쉘렌버거는 "그린피스는 보이는 것과는 다른 단체"라며 "그린피스는 후쿠시마 이후 동아시아 펀딩을 늘렸는데 후원금의 출처를 밝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린피스가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후원으로 유착관계가 형성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시에라 클럽이라는 곳은 천연가스 회사로부터 지원을 받았다"며 "이런 단체들이 받는 후원금은 영화 스타워즈나, 축구단 유나이티드 수익보다 많다"고 주장했다.

    쉘렌버거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활동과 관련해 "반핵단체들이 만든 거짓 정보가 가득한 비디오를 보고 매우 화가 났다"며 "객관적 정보에 대해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민참여단들이 그런 동영상을 보고 결정을 내리진 않을 것"이라고 우려의 뜻을 내비쳤다.

    또한 "한국인이 아니라 판단은 삼가는 게 좋을 것 같다"면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 활동이) 서두른 감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왜 이 같은 결정을 국회를 거치지 않고 몇 달만에 빠르게 매듭지으려는지 의문"이라고도 했다.

    앞서 쉘렌버거는 8월 22일 '공포의 값비싼 대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한국이 탈원전을 할 경우 발생하는 불이익을 지적한 바 있다. 최근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시민참여단, 한국 국민 등에게 반핵의 부작용에 대해 알리는 공개서한을 세 차례에 걸쳐 보냈다.

    쉘렌버거는 "한국의 원자력은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며 "반핵단체들의 거짓선동에 속지말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쉘렌버거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사고에 대해 그린피스 등 반핵단체들이 주장하는 피해 상황은 거짓"이라며 "체르노빌 사태 75년 동안 사망자 숫자는 200명 이내였다"고 비판했다.

    이어 "체르노빌의 방사능 노출로 인한 사망확률보다 간접흡연과 대도시 거주에 의한 사망률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반핵단체들의 선동으로 원전에 대한 국민들의 공포심이 부풀려졌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한국의 원전을 화석연료나 신재생으로 해결한다면 더 많은 (사고) 피해가 있을 것"이라며 "대구 천연가스 폭팔,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생한 유사한 사고, 중국의 반차오 댐 사고, 캘리포니아에서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뻔했다"고 말했다.

    쉘렌버거는 "(한국 국민들은) 경주 지진에 대한 대단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는데, 그 규모는 토호쿠 지진에 비해 무려 35만배 약한 수준에 불과하다"며 "산업부 장관이 원전을 두고 지진에 주의해야 한다고 했는데 맞지 않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한국의 탈원전 정책이 원전 수출의 신뢰도를 떨어뜨렸다는 경고도 던졌다.

    쉘렌버거는 "한국 원전 수입을 추진해온 케냐와 영국이 한국 정부의 탈원전 발표 이후 재고하겠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며 "지난주 케냐와 영국 고위 관계자를 직접 만났는데, 케냐는 러시아에서 원전을 수입하려 하고 영국은 재고하겠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케냐는 2033년까지 4,000MW(메가와트) 규모의 신규 원전 도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지난해 9월 우리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자력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영국은 최근 21조원 규모의 원전 건설 사업 파트너로 한국형 원전 모델(APR-1400)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쉘렌버거의 주장에 따르면 수출길이 막히 위험에 처했다.

    탈원전 정책을 실시하더라도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하지 않은 지형 조건을 갖췄다는 설명도 더했다.

    쉘렌버거는 "한국은 산지가 많기 때문에 태양광에 적합한 부지가 매우 제한적"이라며  "태양광 발전을 하려면 산지를 밀거나 농지를 덮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풍력은 원전보다 35배, 태양광은 17배 더 많은 부지가 필요하다.

    탈원전 정책과 문재인 정부의 1호 공약인 '일자리 창출'은 상충된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쉘렌버거는 "원전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으로 대체할 경우 그 비용과 LNG 수입으로 드는 비용이 연간 2,000~4,000억달러에 이른다"며 "이는 연봉 약 3,000만원짜리 일자리를 34만3,000개를 창출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