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유엔과 북한 간 교류 일환…미국과 무관한 방북”
  • ▲ 지난 5일 北평양에 도착할 당시 제프리 펠트먼 유엔 정무담당 사무차장과 그 일행들의 모습. ⓒ뉴시스-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 5일 北평양에 도착할 당시 제프리 펠트먼 유엔 정무담당 사무차장과 그 일행들의 모습. ⓒ뉴시스-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프리 펠트먼 유엔 정무담당 사무차장의 방북과 관련해 한반도 주변국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의 반응은 지금까지와 별 차이 없이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나마 대조를 보이는 것은 한국과 미국의 반응이다.

    한국 정부는 제프리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5일 외교부는 정례 브리핑을 통해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의 이번 방북으로, 북한의 도발과 위협이 중단돼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의지가 전달되어서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복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이 리수용 北외무상 등 북한 고위관계자와 만나 국제사회의 우려를 전달하면서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화의 장에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뜻이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통일부 또한 기대감 섞인 반응을 내놨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은 “통일부 관계자는 안토니우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이 북핵 문제의 중재자 역할에 여러 차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안다며, (이번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으로)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대화의 장에 나올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또한 “북핵 문제는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원칙 아래 포괄적, 단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입장”이라며 “지금은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협상에 나오게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반면 미국은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에 별 의미를 두지 않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美국무부는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에 대해 “유엔과 북한 간 교류으 일환으로 알고 있다”만 답하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불법적인 도발에 전 세계가 일관되고 분명하게 대응을 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답했다고 한다.

    美국무부 측은 또한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와 함께 외교적,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것이며, 이를 통해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美국무부 측은 이어 “미국은 평화적인 방안으로 북핵 해법을 찾고자 하는데 북한 정권이 협상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미국은 김정은에게 ‘국제사회가 북한을 절대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한 점의 의심도 없도록 반드시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에 대한 美국무부의 공식적인 발표 또한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지난 5일(현지시간) 헤더 노어트 美국무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 사무차장이 방북하면서 美정부의 메시지를 들고 가지 않았겠느냐”는 일각의 추측에 대해 “그의 이번 방북은 美정부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한국과 미국 언론에서는 “美정부 내에서는 ‘중국이 보낸 특사도 빈 손으로 돌아갔는데 유엔 고위인사라고 해서 성과를 얻을 수 있겠냐’는 회의론이 돌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의 방북이 한반도 주변국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북한이 ‘화성-15형’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발사 직후 초청장을 보냈다는 점과 유엔 고위급 인사로써는 7년 만의 방북이라는 점 때문이다.

    유엔 고위급 인사가 북한을 찾은 것은 2010년 2월 린 파스코 유엔 사무차장이 마지막이었다. 당시 파스코 유엔 사무차장은 방북에 앞서 서울에 들러 한국 정부와 북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반면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은 방북에 앞서 중국을 찾아 리바오둥 中외교부 부부장 등과 만난 뒤 지난 5일 中베이징 공항을 출발해 평양에 도착했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유엔도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한국 정부보다 중국 정부의 역할이 더 크다는 점을 인정한 것처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