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씨에게 묻고 싶은 게 있습니다

    1970년대 미국 학교에 교사로 있을 때 이야기입니다.
    70여명이 넘는 교사들 중에 오직 한 명인 동양인 선생이 자기 반 담임이 되었다는 게 너무나도 싫은 학생들은 수업을 거부하면서 발을 쾅쾅 구르기도 하고, 연필과 책을 바닥에 던지기도 하며 항의 했습니다. 그러면서 Chinese이냐고 물었습니다. 나는 Korean 이라 하니 Korea 라는 말을 생전 처음 들어본다면서 도대체 어디 있는가 물었습니다.
    지구본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한국 땅을 손가락으로 짚으면 안타깝게도 내 손가락에 가려 한국 땅이 아예 보이지 조차 않았습니다. 아이들은 연신 “어디요? 어디?” 하고 다그치고 나는 “여기, 여기” 하면서 손가락을 댔다 뗐다 하며 실랑이를 했습니다.
    한국은 중국이나 미국 땅덩어리에 비하면 정말 콩알만큼 작고 작은 나라입니다.

    미국이나 중국 같은 큰 나라에도 수도가 여기 저기 갈라져 있지 않습니다.
    세종시에 대한 장, 단점을 떠나 대한민국 같이 작고 작은 나라에서 왜 수도를 굳이 갈라놓아야 한다고 그리 아우성인지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습니다.
    박근혜씨가 “대국민 신뢰 상실” 운운하면서, 국민에게 약속한 것이니까 반드시 그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박근혜씨에게 묻고 싶은 게 있습니다.

    내가 한국을 떠나오기 전, 1963년 봄으로 기억합니다. 생전 처음으로 선거권이 주어져 박정희 대통령 후보자에 투표하고 한국을 떠나왔습니다. 그 당시, 박정희 대통령 후보는 국가를 안정시키고 군대로 복귀한다고, 절대로 대통령으로 출마하지 않는다고 '혁명공약'으로 국민에게 철통같은 약속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의 국민과의 약속은 여지없이 무너졌습니다. 원대복귀 대신 대통령에 출마하였고, 3선 개헌으로 장기 집권했던 이승만대통령을 비난하던 그가 재선, 삼선... 그리고 나중에는 유신까지 행해가며 영구 대통령직에 머무르려 했습니다.

    박근혜씨.
    부친인 박정희 대통령은 아마 모르긴 해도 국가를 위해서는, 국가의 먼 장래를 위해서는, 국민과의 철석같은 약속도 깨야 한다고 생각하였기에 재선, 삼선, 유신까지 감행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 당시에는 국민과 세계로부터 독재자라는 비난을 들었지만, 2010년 현재, 그는 대한민국을 후진국에서 중진국으로 올려놓은 대통령으로 전세계가 칭송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의 ABC TV 나이트 라인 시간에 나왔습니다. (2010.1.20)
    그가 추진하고자 하는 건강 보험법 개정안이 많은 반대 의견에 부딪치고 있고 그의 인기가 50%이하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민주당 Kennedy 가의 텃밭인 Massachusetts 주에서 공화당 의원이 상원의원으로 당선되어 민주당의 안전라인 60석이 무너지는 바람에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하고자 하는 보험개정안이 더더욱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여기 대해 날카롭게 질문하는 기자에게, 오바마는 "대통령은 개인의 인기에 연연할 수 없다. 어디까지나 국가 장래를 위해 무엇이 과연 옳은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답 하였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또한 개인의 인기만을 생각한다면 세종시를 원안대로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이 처한 가장 중대한 안건이 마치 세종시 뿐인 듯, 그것이 마치 국민을 위한 최선의 길인 듯, 저마다의 이득을 위해 싸움질 하는 정치판에서 그는 한 걸음 물러나 무난하게 임기를 마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국민과의 약속을 깨고 국가의 미래를 위해 '수도분할은 안된다'며 국민들에게 사과까지 하고 수정안을 내놓은 것입니다.

    박근혜 씨의 “국민과의 약속이기에 지켜야 한다”는 명분은 전혀 진실성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것이 과연 ‘국민과의 약속’인지, 그 약속의 ‘정체’가 무엇인지, 반대하는 국민들도 국민인데 그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 약속을 지키려는 ‘목적’이 무엇인지는 누구보다도 자신이 가장 잘 알 것입니다. 다시 한 번 역사 앞에 서서 겸허하게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박정희 대통령처럼, 자신이 아니라 국가를 위하여 '자신과의 약속'을 깰 수 있는 용기를 기대합니다.
    콩알만큼 작디 작은 땅, 그 땅도 반으로 갈라져 있는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수도는 하나로 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