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당무위원회서 유권해석, 후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 겸임할 듯
  •  

  • ▲ ⓒ 정상윤
    ▲ ⓒ 정상윤

    대선 패배 후에도 당내 권력 구형을 좌지우지하려던 친노(親盧) 세력의 속셈에 제동이 걸렸다.

    문재인 후보(당대표 대행)에게 향후 구성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명할 권리가 없다는 쪽으로 결론지어진 것.

    이에 따라 김부경, 이인영, 박영선 등 친노 인사들을 비대위원장에 앉히려던 친노 측의 전략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24일 오전 국회에서 당무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결론을 냈다.

    “문 전 후보에게 위임된 법적·통상적 대표권한은 유효하지만 비대위원장 지명은 법적·통상적 대표권한과는 다른 것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무위에서 확인했다.”
    - 박용진 대변인

    이에 따라 민주당은 당헌·당규에 따라 내달 20일까지 선출되는 신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까지 겸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새 원내대표의 임기는 지난 21일 사퇴한 박지원 전 원내대표의 잔여임기인 내년 5월초까지다.

  • ▲ ⓒ 정상윤
    ▲ ⓒ 정상윤

    한편 대선 패배 이후 민주당은 책임론을 제기한 비노 세력과 여전히 당권을 놓지 않으려는 친노 세력의 갈등을 일으켜 왔다.

    특히 안철수 교수와의 단일화 논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이해찬 전 대표가 문 전 후보에게 대표권한대행을 위임한 것에 대해 대선 이후에도 그가 권한대행을 유지할 수 있느냐에 대한 2차 논란이 불거졌다.

    당초 민주당은 회의의 모두발언은 언론에 공개하기로 했지만 별다른 공지를 하지 않은 채 오전 내내 비공개로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 과정에서 벌어질 험악한 분위기를 감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날 회의는 친노세력의 책임론을 주제로 갑론을박이 계속 됐고, 고성이 오가는 모습이 연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