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국정조사는 박근혜 정부 흔들기 수단" "국정원 댓글사건, 민주당의 실패한 정치공작"
  • ▲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 의원 질의를 들으며 물을 마시고 있다.ⓒ이종현 기자
    ▲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 의원 질의를 들으며 물을 마시고 있다.ⓒ이종현 기자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16일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청문회에 출석해 
    댓글 의혹사건에 대한 경찰의 은폐·축소 수사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용판 전 청장은 
    이날 오전 10시쯤 국회 본청 청문회장에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용판 전 청장은
    [검찰 공소장처럼 경찰의 댓글사건 수사과정에서 수사진행을 방해했느냐]는
    민주당 정청래 의원의 질의에 
    [검찰 공소장 전체 내용을 인정하지 않는다]며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지난해 12월 16일
    댓글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경찰의 수사 결과 발표는 
    허위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진실은 재판과정에서 밝혀질 것이다. 
    당시 직원들이 허위로 분석했다는데 동의하지 않고
    지금도 직원들을 신뢰한다.

       -김용판 전 경찰청장


    김용판 전 청장은
    지난해 12월16일 심야에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한 데 대해 
    [당시 사건이 정치권의 핫이슈인데다가 
    몇몇 언론이 특종보도하려는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작년 12월 16일 경찰의 중간수사 발표를 앞두고 
    국정원 박원동 전 국장과 권영세 주중대사와 접촉했다는 
    민주당의 주장과 관련, 

    김용판 전 청장은 
    관련 사실을 전면 부인하며
    "권 대사를 알지도 못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판 전 청장은 
    국정원 여직원에 대한 민주당의 감금이 맞느냐는 질문에 
    [당시 충분히 (감금이) 된다고 보고 받았다]고 말했다. 
    김용판 전 청장에 대한 신문과정에서
    여야는 치열한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이번 국정조사는
    민주당의 대선패배 한풀이이고, 
    박근혜 정부를 흔들기 위한 것이다. 
    국정원 댓글사건의 핵심은
    민주당에 의해 실패한 정치공작이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는
    오차범위 내에서 박빙의 차이로 초접전이었다. 
    이런 상태에서 경찰이 12월16일 밤 
    증인(김용판)이 주도하는 경찰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해
    대선에 결정적 영향을 줬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



    앞서 김용판 전 청장은  
    법률상 보장된 원칙을 근거로
    증언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지만, 
    자신에 대한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질문에 비교적 적극적으로 응하는 모습이었다.

    이와 관련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김 전 청장이 위증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공격했다.
    이에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박영선 의원을 향해
    [인권탄압 국회의원인지, 법사 위원장인지 묻고 싶다]고
    반박했다.
    한편, 또 다른 핵심증인으로 현재 서울구치소에 수용 중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은 
    이날 오후 2시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