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한반도 비정상 극복하는 궁극의 길”
  •  

  • ▲ 박근혜 대통령은 7일 “70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뤄내는 게 지금 정부가 해야 할 숙원사업이자 국민들의 여망”이라고 말했다. ⓒ 뉴데일리(청와대 제공)
    ▲ 박근혜 대통령은 7일 “70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뤄내는 게 지금 정부가 해야 할 숙원사업이자 국민들의 여망”이라고 말했다. ⓒ 뉴데일리(청와대 제공)

        


     
    박근혜 대통령은 7일 “70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뤄내는 게 지금 정부가 해야 할 숙원사업이자 국민들의 여망”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첫 통일준비위원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히며 “이제 비정상적 분단 상황을 극복하고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막중한 과제를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 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진정한 통일시대를 맞기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만들어낼 것을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독일에서 발표한 드레스덴 구상과 연계해 남북한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펼칠 것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남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문제를 우선 해결하고 공동 번영을 위한 민생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면서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펼쳐가는 것은 통일을 이뤄가기 위해 가장 시급하고도 기초적인 준비과정”이라고 했다.

    이밖에도 문화예술 및 스포츠 분야 교류협력, 비무장지대 평화공원 조성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통일정책은 어떤 정책보다 국민공감대가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통일에 대해 국민은 물론 주변국도 막연하게 불안감을 가질 수 있는 만큼 통일은 모두에게 큰 축복이 될 것이라는 분명한 비전을 제시하는게 우리가 꼭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통일은 동북아에 상당한 경제적 파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세계 기업들도 주목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 기업과 각국에 얼마나 많은 새로운 투자기회와 성장동력을 줄 수 있는지, 이로인해 얼마나 많은 일자리가 생길 수 있는지 청사진을 제시한다면 통일 대한민국에 대한 국민인식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동북아 평화와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가 한반도 통일이 돼야 가능하다는 비전을 제시해달라”고도 당부했다.

    통일준비위는 박 대통령이 지난 2월25일 취임 1주년을 맞아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함께 시작을 알렸지만 이후 남북관계가 냉각기를 걷고 세월호 침몰 사고 등이 겹치면서 공식 출범은 늦어졌다.

    정부는 당장 추석(9월8일) 전후로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인천아시안 게임(9월19~10월4일)께 북한 선수단과 응원단 파견 지원 등을 도우며 얼어붙은 남북관계의 해법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