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시간 예열해야 하는 발전기 '공급능력'에 포함비상대책기간 연장 불구 발전소 정비 일정 안바꿔전력수급관리 난맥상 드러나
-
지난 15일 초유의 정전사태 발생 당시 전력거래소가 전력공급능력을 과다계상, 실제 예비력이 24만㎾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칫하면 예비전력이 바닥나 전국적으로 전력 공급이 끊기는 대정전(total black out) 직전의 아찔한 순간까지 갔던 것이다.
적기에 사실대로 보고만 이뤄졌더라도 긴급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전력거래소의 '허위보고'는 엄중한 문책의 대상이라는 지적이 높다.
또 하절기 비상대책 기간이 23일까지로 연장됐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소 계획정비 일정이 전혀 바뀌지 않는 등 시스템 오류와 관계기관 간 공조 부족에 따른 전력 수급 조절의 난맥상이 드러나고 있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18일 기자회견에서 "정전사태 발생 당시 전력 예비율이 정확히 계상되지 못해 실제예비력에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는 전력거래소가 허위 보고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거래소가 당시 공급능력을 7천71만㎾로 판단했으나 실제 공급능력은 6천752만㎾로서 약 319만㎾ 편차가 발생, 순환 정전 조치를 내리기 직전인 오후 3시 당시 실제 예비력이 24만㎾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처럼 편차가 발생한 것은 발전기가 처음 예열 상태를 거쳐 발전 상태로 가려면 5시간 동안 예열해야 하는데 예열하지 않은 상태의 발전용량 202만㎾를 공급능력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또 복합발전소의 출력이 하절기 줄어드는 것도 감안되지 않았다고 최 장관은 설명했다.
전력위기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예비전력이 100만-200만㎾인 '경계'단계에서는 직접부하제어를 실시하고 전압을 5.0%까지로 낮출 수 있으며, 0-100만㎾의 심각 단계에서는 순환정전 같은 긴급 부하조정이 시행될 수 있다.
정전 당시 예비전력이 100만㎾를 넘은 상황에서 순환정전 조치를 시행, 매뉴얼을 무시한 과잉 대응이 아니었느냐는 논란이 일었지만, 결국 실제 예비전력이 24만㎾였다면 오히려 대응이 늦은 셈이다.
만약 조금만 더 조치가 늦어졌다면 예비전력이 결국 바닥나 전국이 통제불능의 암흑 속으로 빠져드는 대정전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이렇게 되면 일반 가정이나 공장, 병원 등을 막론하고 자체 비상발전 시스템이 없는 곳에는 모두 전력이 끊겨 전국이 마비된다"며 "이 같은 상태가 5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정유, 철강 등 기간산업의 공정에 차질을 빚고 병원, 금융업체, 국가기관 등의 시스템이 마비돼 순환정전 때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천문학적인 피해와 혼란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눈앞에 닥쳤는데도 일반국민은 물론 주무 부처의 관계자들조차 이런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지경부는 "전력거래소가 정전 당일 사용하기 곤란한 전력 공급량을 사용 가능한 예비전력량에 포함시켜 허위보고해 관계기관 간 긴급 공조 차질을 초래했다"며 전력거래소에 책임을 돌렸다.
이와 관련,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공급용량 계산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다"며 "고의로 허위 보고를 한 것은 절대 아니다"고 해명했다.
보고 시점을 놓고 말이 엇갈렸던 두 기관이 여전히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정전 사태 당시는 물론, 하절기 비상대책 기간에도 관계기관 간 공조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최 장관은 이날 "지경부는 8월31일자로 여름철 전력수급대책본부 운영을 9월 23일까지 3주간 연장한다는 공문을 한국전력과 발전 자회사에 보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래 계획대로 발전소 정비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공문 수신처에 전력거래소가 빠진 것에 대해서는 여름철 전력수급대책본부는 한전 내에서 운영중인 비상수급대책반의 구성조직으로 전력거래소가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공문 조치가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지경부는 이같이 밝히면서 한전과 발전소 등에 정비 기간을 조정하지 않은 책임을 돌렸지만, 이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 지경부 역시 책임을 회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