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 증거물 보내라"..날마다 신문방송에 보도...서울대 분향소도 그중의 하나
  • 지금 통전부의 대남공작은 남한슬픔 조작 
      
    통전부는 남한 언론사진들을 노동신문에 연이어 소개한 후, 김일성 추모 남한민심을 탄압하는 김영삼정부에 대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항의성명까지 발표했다. 

    장진성 (탈북 시인/ 뉴데일리 객원논설위원)  

      

  • 최근 민주노동당 입당 경력이 있는 서울대 학생이 대학에 “김정일 추모 분향소”를 차리겠다고 소동을 피웠다고 한다. 그 기사를 보니 내가 통전부(통일전선부) 입사했을 때 기억이 난다. 그때 나는 신입교육 차원에서 통전부가 열람 공개했던 1994년 김일성 사망시점의 통전부 심리전 문건을 보았었다.

    김일성 사망 후 100일동안은 북한 내 각 부서들이 충성경쟁을 벌일 때이다.
    그 첫 시범을 보인 곳은 북한 군부였다. 김일성 추모와 김정일을 격려하는 내용으로 전군(全軍)에 선물운동을 벌이도록 했다. 그렇게 모아진 전군(全軍)의 선물들을 지금의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혁명역사관에 전시하기도 했다.

    외무성은 은밀히 외국의 조문과 대표단, 조의금을 끌어들이려 했지만 그 결과가 별로 선전가치가 없어 조문단을 받지 않겠다던 초기 공개입장으로 유턴하고 말았다. 당 선전선동지도부는 추모분위기와 유훈통치 선전에 이어 시인 김만영이 추모 서사시를 지으면서 김정일로부터 격찬을 받기도 했다.

  • 그러나 통전부는 실적보다 그동안 북한 주민들에게 김일성을 민족통일의 구심점으로 선전해 왔던 거짓의 책임부터 지는 것이 더 급했다.
    통전부 대남심리전 부서들은 대남 기지들을 역이용하여 대북심리전도 하고 있다.
    북한의 당보인 노동신문을 보면 남한 민중시인, 모 대학 교수, 기자, 정치인 등 남한 명의로 된 김일성, 김정일 찬양 글들이 매일 소개된다.

    그렇게 일관했던 찬양을 한 순간에 커다란 비애로 조작하자니 시간도 문제지만 구체적인 증거물들이 근본적으로 부족했다. 그래서 통전부는 친북단체 담당 교류1과와 종교담당 교류2과를 통해 방북조문은 물론, 김일성 추모 시, 칼럼, 서체들을 빨리 만들어 평양으로 보내도록 지시했다. 그리고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는 물론 대학가에도 분향소 설치운동을 벌여 사회적으로 대거 이슈화하라고 지시했다.

    통전부는 그렇게 얻게 된 남한 언론사진들을 노동신문에 연이어 소개한 후, 김일성 추모 남한민심을 탄압하는 남한정부에 대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항의성명까지 발표했다. 자유민주주의의 다양성을 조금도 이해할 수 없는 북한 주민들에게 "김일성이 정말 대단하구나!" 하고 또 한 번 감탄하도록 정권 규모의 공식적 형식을 취한 것이다.

    통전부는 그것도 부족하여 자체 기지들을 활용하기도 했다. 먼저 26연락소 북극성(이전에는 칠보산)전자악단 배우들을 동원하여 비디오를 만들었다. 26연락소는 남한 내 실존하는 방송국인 것처럼 위장하여 1970년대부터 전파침투 및 심리전으로 민주세력의 반정부 운동을 지지하던 통전부 소속 <구국의 소리> 방송 운영 기지이다.

    전대협 출신 인사들이 밀방북했을 때 김정일에게 가수 계화를 만나게 해달라고 부탁할 정도로 서울 현지화가 잘 된 대남방송 연락소이다. 통전부는 북극성 배우들의 머리를 염색하고 김정일 초상화 앞에서 통곡하는 장면을 연출한 다음 남한 대학생들의 현지 슬픔 소식인 것처럼 TV로 방영했다.

    또한 남한 내 실제 NGO단체들 명의를 도용하여 대남교란전을 전담하는 310연락소는 남한에서 제작했다는 김일성 추모, 통곡 내용의 삐라를 38선에서 거꾸로 북한을 향해 뿌리기도 했다. “하늘까지 가득 메운 남조선의 통곡”이란 내용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기만선전을 하기 위해서였다.

    나는 김정일이 사망한 지금도 그때와 유사한 대북심리전을 하느라 통전부가 여념 없을 것이라고 본다.
    또 김정일과 아무 연고가 없고, 그래서 전혀 슬프지도 않을 민주노동당 당원 서울대 대학생의 철없는 소동도 어쩌면 그 연장선이 아닐까? 하고 웃음과 동정으로 잠시 눈여겨보게 된다.

    장진성 /탈북 시인, 북한 통일전선부 근무, '내딸을 백원에 팝니다' 저자

    국내최초 탈북자신문 뉴포커스 http://www.newfoc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