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첫 해외순방을 앞두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은 2일 공식일정을 잡지 않았다. ⓒ 뉴데일리 (청와대 제공)
첫 해외순방을 앞두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은 2일 공식일정을 잡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3일에도 대통령의 공식 일정은 없다. 방미 전까지 공개 석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박 대통령의 미국 공식 방문 일정은 오는 5일부터 10일까지.
국가 원수로서 첫 국제무대 데뷔를 앞두고,
핵심 사안들을 숙지하고 의제를 가다듬는데 주력하는 모습이다.박 대통령이 가장 공을 들이는 일정은 단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과
미국 상·하원 합동의회 연설이다.한미 동맹 60주년을 맞아 진행되는 양국의 첫 정상외교인 데다가,
북한의 도발로 비롯된 한반도 안보문제까지 겹치면서,
논의될 의제들의 무게감도 어느 때보다 무거운 상황이다.특히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한반도 안보문제에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린데 대해,
새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신뢰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해법으로 제시해야 한다.
정상회담 및 의회연설 자리에서 이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도 박 대통령의 몫이다.이밖에도 원자력협정 개정안 및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등
미국과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현안의 논의를 진전시키는 것도 이번 순방의 과제이다.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수행하는 경제 및 외교·안보 참모진과 수시로 회의를 열고,
메시지를 가다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또 방미에 동행하는 경제단체장 및 재계 수장들과 함께,
코리아 세일즈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이다.청와대 핵심관계자의 부연설명이다.
“이번 순방은 국가 설명회(IR)로 볼 수 있다.
우리 경제가 기초체력이 튼튼하고,
동시에 북한의 도발에도 안보상황을 굳건히 지킨다는 이미지를 전달할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밖에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협의할 사안들을 점검하고,
현지 교민들과 만나는 행사에서 내놓을 메시지 등도 정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한편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방미 기간 내내 24시간 비상체제에 돌입한다.
각 수석실을 비롯한 청와대 비서실은 매일 오전 비서실장 주재로 수석 비서관회의를 열어,
비상사태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