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년 전 얘기를, 꼭 지금해야만 설명이 됩니까?
곽동수 숭실사이버대 교수가 MBC <100분 토론>에 패널로 출연했다,
[5년 전 과거 발언]으로 망신살이 뻗쳤다.29일 방송된 MBC <100분 토론>에 패널로 출연한 곽동수 교수는
"민주당의 <일베> 운영금지 가처분 신청 검토에는 반대한다"면서도,
"<일베>는 정도를 넘어섰다. 이젠 국가가 나서야 한다"는
위험 천만한 발언을 내뱉었다.표현의 자유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하지만 최소한의 마지노선은 정리하는 논의가 필요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일베>는 하급문화 중에서도..
이건 B급이 아니라 Z급 수준입니다.
<일베>는 이미 표현의 자유를 벗어난 것이 분명하고,
[권리 남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곽 교수는 "인테넷 게시글에도 엄연한 [격]이 존재한다"며
"<일베>는 최소한의 도의조차 저버린 [Z급 사이트]"라고 평가절하했다.한 마디로 "여론의 자율성은 보장해야 하지만,
정도를 넘어선 <일베> 만큼은 단죄를 해야한다"는 논리다.예전에도 온라인상에선 전직 대통령들이나
권력 핵심 계층을 풍자하는 일들이 자주 있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런 풍자에도 격은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5년 사이에 인터넷 언론이 묘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자식과 함께 볼 수도 없는 상상도 못하는 표현이 나오고 있어요.
이런 글들이 결국 역사 왜곡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곽 교수, 5년 만에 [온라인 여론 규제론자]로 변절?
그러나 곽 교수는 지금으로부터 5년 전, 같은 토론장에 나와,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를 무한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 장본인이다."살인·강간 등 온갖 혐오스러운 게시글도 결국엔 자정될 것"이라며
[규제의 무용론]을 강력 설파했던 것.29일 <100분 토론>에 곽 교수와 함께 패널로 출연한
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도 바로 이 점을 지적,
"곽 교수의 주장이 불과 5년 만에 [정반대]로 바뀌었다"고
일침을 가했다.5년 전 <100분 토론>에
저와, 진성호 전 의원,
그리고 곽동수 교수가 출연해
광우병에 대한 인터넷 여론 조작 문제를 놓고
토론을 벌인 적이 있죠.
그때 저는
"광우병 위험성을 주장하는 이들이 반기지 않는
새로운 이슈가 나타났을 때는 어떻게 하실거냐"는
질문을 던졌었죠.곽 교수는 당시
"그런 것도 다양한 인터넷 여론 중 하나다.
인터넷이 발전하는 과정이다"라고
답했었습니다.
다음 아고라에는 날조된 허위 사실들이 난무하고 있었지만
이런 것도 인터넷 여론이라며 자율성을 보장해야는 한다는 주장을 하셨었습니다.
그랬던 분이 이제와서
"<일베>에 올라온 글들에 문제가 있다. 단죄를 해야한다"고
말하니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거죠.변대표의 날카로운 지적이 이어지자,
곽 교수는,
"5년 전 얘기를 꼭 지금 해야만 <일베> 논란이 설명 되느냐"며
궁색한 변명을 늘어놨다. -
방송 직후 한 네티즌은
"곽동수가 곽동수에게"라는 제목으로,
곽 교수의 [5년 전 토론 모습]을 캡처한 사진을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렸다.해당 사진은 2008년 6월 27일,
곽 교수가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변희재 대표와 [설전]을 벌이는 모습을 담은 것으로,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좌우로 [병렬 배치]에 눈길을 끌고 있다.사진 가운에는 "인터넷에서 표현되는 것 중에 넘치던 부분은 자정될 것입니다"라는
곽 교수의 [과거 발언]이 적혀 있다.해당 게시물을 올린 네티즌은
"곽동수의 일침을 듣고 꿀먹은 벙어리가 된 곽동수"라는
사진 캡션을 달아 실소를 자아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