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이 세계 6번째 잠수함사령부 운영 국가가 됐다.

    해군은 2일 오후 진해 군항에서 잠수함사령부 창설식을 거행하고, 미국-일본-프랑스-영국-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로 잠수함사령부를 운영하는 국가로 발돋움했다.

    이날 잠수함사령부 창설식은 한민구 국방부장관의 주관으로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윤정상 초대 잠수함사령관을 비롯한 주요 지휘관과 해군예비역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잠수함사령부 창설은 [국방개혁 기본계획(2014-2030)]에 따라 시행된 것으로 [전략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미래지향적 방위역량 강화]의 세부 추진과제 중 하나다. 잠수함사령부는 잠수함 작전은 물론 교육훈련과 정비까지 잠수함 운용의 모든 분야를 통합 관리한다.

    초대 잠수함사령관은 윤정상 소장이 취임했다. 윤 소장은 해사 38기로 임관해 정운함장, 제92잠수함전대장, 합동참모본부 해상전력과장, 제9잠수함전단장, 해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진해=뉴데일리 정상윤 사진기자)


    관련기사

    잠수함사령부 창설 “北 도발 능동적 대처능력” 의미

    (취재=뉴데일리 순정우 기자)

    해군은 1일 잠수함사령부(이하 잠수함사)를 창설한 가운데 잠수함사 창설의미로 “동ㆍ서ㆍ남해 수중을 완벽하게 방호하겠다는 의지”리고 밝혔다.

    그동안 전세계 잠수함사를 가진 국가는 미국·일본·프랑스·영국·인도 5개국이다. 

    대한민국 해군이 세계 6번째로 잠수함사를 운영한다는 것은 북한의 심장부를 타격할 수 있는 전략무기체계인 잠수함을 효율적으로 지휘·통제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여기에 북한의 위협을 능동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해군은 이번 잠수함사 창설 배경에 대해 '국방개혁 기본계획(2014-2030)'에 따라 시행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평화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국정과제인 ‘전략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미래지향적 방위역량 강화’의 세부 추진과제 중 하나라는 것이다.

    특히 잠수함사 지휘관이 소장급으로 격상되고 참모 및 예하부대 기능이 보강되면서 잠수함 작전, 교육훈련, 정비 등 잠수함을 지휘ㆍ통제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지면서 잠수함 전력 운용의 효율성이 증대 될 전망이다.

    잠수함 전력 확보를 위한 해군의 노력은 1984년 소형 잠수정인 돌고래를 도입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1990년 제57잠수함전대(대령급)를 창설했고, 1992년 해군 최초의 잠수함인 209급 1번함 장보고함을 독일에서 인수했으며, 1995년 제9잠수함전단을 창설했다.

    지금 해군은 미래를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설계에서부터 건조까지 우리나라 기술로 건조한 3,500톤급 장보고-III (KSS-3)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장보고-III는 공기불요기관(AIP)을 가진 디젤 잠수함으로 사거리 1,500Km 잠대지 순항 미사일 탑재할 예정이다. 

    모두 9척을 건조할 예정으로 사업비 2조5,000여억원을 들여 2018년부터 2021년까지 3척을 전력화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2029년까지 6척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해군의 걱정은 잠수함 승조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부사관 지원율이 저조하다는 점이다.

    잠수함 승조원 양성과정 기간은 1년이상 필요하고 잠수함은 기본적으로 고립된 공간의 제약이 있어 근무환경이 열악하다. 때문에 승조원 지원율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해군은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승조원을 대상으로 잠수함 지원 장려금 등 각종 수당 지급, 장기복무 선발 우대해 우수인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