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펜-조우석의 문화비평]위안부, 반일 히스테리 숨은 연출자 정대협이 문제다
위안부에 관한 잘못된 정보 강요…이명박정부 이후 정치권 압박
조우석 | media@mediapen.com -
- ▲ 조우석 문화평론가
반일(反日)이 애국이고, '반일 히스테리'만이 능사인가?
외곬로 달려온 한국사회가 진실의 순간을 앞두고 있다.
일본 총리는 다음주 29일 미 상하원 합동연설대에 오르며
미국-일본의 신 밀월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으르렁대던 중국-일본 관계도 빠르게 정상화되고 있다.
우물 안 개구리인 우리만 반일 민족주의의 늪에 갇혀 산다.
반일 이데올로기는 한국외교 위기의 최대요인이자,
언론-학계-시민사회에 침묵을 강요하는 전체주의 공포의 주범이다.그걸 보여준 사건이 박유하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를 판매금지시킨 법원의 결정인데도 사람들은 침묵하고 있다. 이에 평론가 조우석은 지금의 반일 히스테리란 지적(知的) 파산이자, 신 쇄국주의 이념을 앞세운 마녀사냥임을 보여주는 글을 차례대로 싣는다.
①누가 박유하 교수에게 돌을 던지나? ②위안부-정신대를 둘러싼 진실
③친중 사대주의-반일 민족주의의 미망(迷妄)의 순서다.[편집자 주]
3부작 칼럼 ‘반일(反日) 히스테리 해부’중 첫 회가 나간 뒤 다양한 반응이 있었다.
정치권-언론-학계-시민단체가 똘똘 뭉쳐 함께 돌아가는 광기(狂氣)의 지금 시대에 맞서는 용감한 시도라는 평가에서, 그렇게 한다고 상태가 나아질까라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
그중 정대협이 반일 문화권력으로 등장하게 된 앞뒤 배경을 더 설명해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오늘 글의 핵심이 그것인데, 첫 글에서 ‘권력화된 정대협’은 반일이냐 친일이냐를 따지는 판관(判官)이자, 빅 브라더라고 나는 지적했다. 1990년 설립된 그 단체가 어찌 그렇게 막강할까?
오늘 글의 핵심이 그것인데, 첫 글에서 ‘권력화된 정대협’은 반일이냐 친일이냐를 따지는 판관(判官)이자, 빅 브라더라고 나는 지적했다. 1990년 설립된 그 단체가 어찌 그렇게 막강할까?
박유하(58)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에 따르면, 정대협이 큰 결정적 계기는 2011년 8월의 헌재 결정이다. 당시 헌재는 “한국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은 위헌(違憲)”이라며 정대협이 제기했던 헌법소원을 받아들였다.
한일관계는, 아니 세상은 그 이전과 그 이후로 쫙 갈린다.
헌재의 결정은 결국 광범위한 반일 정서에 사법부가 굴복-편승한 셈이었는데, 이후 등 떠밀린
국내정치권의 무책임한 반일(反日)의 질주가 시작됐다. 한일관계를 고도의 국제정치적 판단 아래 다루길 포기한 채 정대협의 막무가내 요구에 끌려 다니기 시작한 것이다.
헌재의 결정은 결국 광범위한 반일 정서에 사법부가 굴복-편승한 셈이었는데, 이후 등 떠밀린
국내정치권의 무책임한 반일(反日)의 질주가 시작됐다. 한일관계를 고도의 국제정치적 판단 아래 다루길 포기한 채 정대협의 막무가내 요구에 끌려 다니기 시작한 것이다.
- ▲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무죄다. 박교수에게 누가 돌을 던질 수 있는가? 반일 민족주의 히스테리가 극단적인 형태로 변질되고 있다. 박선아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왼쪽)가 지난해 6월 '제국의 위안부' 책을 들고 소송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 사진
정대협,“정부 뼛속까지 친일”비난으로 한미일 동맹 흔들어
그래서 취임 이후 이 사안에 큰 관심이 없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그해 말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강력 요청했다. 이게 쉽게 풀리지 않자 이듬해 전격적으로 독도로 날아가는 퍼포먼스를 했다.
무엇보다 일왕의 사과를 요구한 강경발언이야말로 화근이었다. 일본사회에 혐한(嫌韓)물결이 걷잡을 수 없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렇게 꼬여가던 양국관계에 또 한 번의 치명타를 가한 것도 정대협이다. 2012년 정부가 한일군사보호협정을 추진할 때 그들이 또 나섰다.
“이 정부는 뼛속까지 친일”이라고 비난하며 한미일 동맹의 뿌리를 흔들어버린 것이다.
반일 히스테리를 유도하는 중심에는 항상 정대협이 존재하는데, 고약하게도 박근혜 정부 이후 한일 관계는 더욱 나빠졌다.
반일 히스테리를 유도하는 중심에는 항상 정대협이 존재하는데, 고약하게도 박근혜 정부 이후 한일 관계는 더욱 나빠졌다.
위안부 문제에 사과하라는 정대협의 요구를 대통령이 더 강하게 반복하기 때문인데, 이쯤에서 묻자. 진실을 마주할 순간인데, 위안부-정신대의 실체란 대체 무얼까? 왜 이리 난리인가? 놀랍게도 교과서에 위안부-정신대가 등장한 것도 정대협의 등장 이후라고 하면 당신은 믿겠는가?
그게 사실이다. 40대 이상이 학교 때 정신대-위안부 문제를 배운 일이 없을 것이다. 옛날 교과서는 그랬다. “여성까지도 정신대란 이름으로 끌려가 일본군의 위안부로 희생됐다”는 표현이 국내 교과서에 등장하기 시작한 건 1997년 이후다.(이영훈 지음, <대한민국 이야기> 122쪽)
위안부-정신대가 교과서에 등장하고 외교 현안으로 등장한 건 해방 반세기를 전후한 시점이라는 게 맞다. 정확하게는 정대협 등장 이듬해인 1991년 김학순 할머니가 자기 과거를 공개하면서부터 쟁점으로 부각됐다.
조선의 딸들이 무장 군인에게 강제로 끌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