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복판 지진발생할 경우 사망 7천명, 부상자 10만명
  • ▲ 1978년부터 2014년까지 연도별 국내 지진발생 추이 자료 ⓒ기상청
    ▲ 1978년부터 2014년까지 연도별 국내 지진발생 추이 자료 ⓒ기상청


    7천여명의 사상자를 낸 네팔 지진 이후, 국내에서도 지진 대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학계를 비롯한 전문가들은 한국이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강조하면서, 재난메뉴얼 강화와 시설보강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난 3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후, 그해 1년간 발생한 한반도 지진빈도가 전년도 대비 2배를 넘었다”고 밝혔다.

    홍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한반도가 동쪽으로 끌려가는 현상이 발생해 결과적으로 동-서가 확장되는 효과가 벌어진다고 한다. 아울러 이는 막대한 힘의 변화가 생긴 것을 의미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문제는 작은 지진의 발생 횟수가 늘어날수록 큰 지진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는데 있다. 작은 지진이 증가한다는 것은 단층대에 지진을 유발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이 쌓여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연이은 지진으로 인해 단층이 약화되고 이것이 일시에 부서지면서 큰 지진이 유발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한반도 대지진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반도가 유라시아판이라는 거대한 대륙지각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남한판’이라는 작은 지각 위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기존에는 한반도와 중국이 거대한 유라시아판에 놓여있고 일본은 필리핀판, 태평양판의 경계에 놓여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때문에 한반도는 비교적 지진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인식돼 왔다.

  • ▲ 지난해 4월 1일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 지점 해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한 것과 관련, 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종합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진앙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해 4월 1일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 지점 해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한 것과 관련, 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종합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진앙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지난 2013년 한국천문연구원이 중국연구진과 공동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이 유라시아판이 몽골, 러시아, 중국 북부를 아우르는 아무르판과, 중국 산둥반도와 한반도 중남부, 서일본 일부를 차지하는 ‘남한판’, 북중국판과 남중국판 등으로 이뤄져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GPS측정결과를 보면 남한판의 북쪽 경계인 북한지방은 아무르판과 매년 1.8mm씩 갈라지고 있고, 서쪽 경제인 중국 산둥반도 부근은 매년 3.8mm씩 땅이 비껴 움직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남한판’의 존재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한반도는 지진에서 결코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판 주변에는 큰 규모의 활성단층이 존재하고 있어, 큰 지진이나 화산폭발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문가들은 국내 지진발생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지만, 현재 국내의 지진대비 실정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지난 2012년도 소방방재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학교, 병원 등 국내 주요시설물의 내진설계 비율은 18.4%에 불과했다. 내진설계 대상 건물 5만 1903곳 가운데 내진설계가 된 곳은 8477곳으로 16.3%에 그쳤으며 내진설계 대상이 아닌 건물을 포함한 전체 공공건물 15만 1233곳의 내진설계 비율도 5.6%로 나타났다.

    심지어 소방서조차도 내진설계 대상 703곳 중 적합판정을 받은 곳은 17.8%인 125곳에 불과해 충격을 줬다.

    당시 소방방재청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서울 중구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사망자는 7726명, 부상자는 10만 7524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지진발생 규모, 빈도, 발생지역, 활단층 등에 대한 상세연구가 부족한 만큼, 전담인력과 예산을 배정하고 조속히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지진에 대한 재난메뉴얼 강화와, 시설보강, 안전교육 등도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