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견 전달 설명서 발표, 당에서 모은 서명자 수 40만 건… 자당 총 당원수에도 크게 모자라
  • ▲ 새정치민주연합이 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서명을 모아 교육부로 보냈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출구전략'을 사용할지 관심이 쏠린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이 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서명을 모아 교육부로 보냈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출구전략'을 사용할지 관심이 쏠린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이 2일 그간 여론전을 하며 취합한 반대 서명을 세종시에 위치한 교육부로 보냈다.

    당초 오는 5일에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를 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을 앞당겨 3일에 확정고시 발표가 결정되자 야당이 서둘러 성명서 발표를 내면서 국정교과서 정국을 마무리 지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2일 국회 본청 앞에서 국민의견 전달 성명서를 발표했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지금까지 저희가 받은 국민들의 반대 서명을 일차적으로 정부에 전달한다"며 "역사 국정 교과서 반대 운동에 함께 해주신 국민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의 의견은 확인 됐다. 압도적으로 많은 국민들이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과 정부는 국민들의 의견을 겸허히 수용해 주시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 대표는 "국민들은 결코 시대를 거꾸로 가는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 이후에 일어나는 여러 혼란에 대해서 정부는 책임져야 할 것"이라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또 "내년 총선서 기필코 승리해 국정제를 기필코 폐지하고 (검인정제로) 다시 되돌리겠다"며 "우리 당은 역사교과서 문제가 완전히 종식될 때 까지 국민들과 함께 하겠다"고도 했다.

    역사교과서 반대운동과 서명을 받은 부분은 제출해서 마무리 짓는 한편, 이 문제를 총선과 연결짓겠다는 뜻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 ▲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난을 퍼부으면서 여론이 압도적으로 자신의 편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나 이날 모은 서명은 총 40만 명 분으로 새정치연합 총 당원수에도 크게 못미치는 수치다. 현재 새정치연합 당원 수는 2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난을 퍼부으면서 여론이 압도적으로 자신의 편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나 이날 모은 서명은 총 40만 명 분으로 새정치연합 총 당원수에도 크게 못미치는 수치다. 현재 새정치연합 당원 수는 2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 역시 "우리 당은 국정감사에서 교육부의 비밀 작업을 밝혀냈다"며 "청와대가 국무회의에서 불법적이고 초법적인 예비비 40억을 통과시킨 것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원내대표는 "그간 터무니 없는 국정 교과서 합리화 명분들을 모조리 깼다"며 "박 대통령은 국민들을 이길수 없고 이겨서도 안된다. 내려오시기 바란다"고 비난했다.

    아울러 "그간 고시 변경 예고기간 20일이 지난 오늘 이렇게 국민 의견을 보내고 의견서를 전달하니, 꼼꼼하게 살피셔서 진정 국민의 뜻이 무엇이고 대한민국의 앞날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살펴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확정고시를 앞두고 이처럼 야당 지도부가 여론전을 마무리하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을 쏟아내자 정치권 일각에서는 출구전략 카드를 꺼내려 하는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야당이 40억 예비비에 대한 자료제출을 요구하며 시간을 끌고는 있지만 곧 출구전략이 필요할 것"이라며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내년도 예산안이 합의되지 않을 경우 전년도 예산안을 준용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무작정 반대해서는 여당 좋은 일만 하게 돼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집필진이 구성되거나 새 교과서 내용이 발표되는 등 역사교과서에 관한 새로운 내용이 나올 때마다 새로이 이슈화를 시킬 수 있는 만큼 야당은 지금 전면전으로 나설 이유가 없는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