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대연합 "나라와 민족을 사랑한 순국선열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다"
  • ▲ 1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보수대연합’ 주최로 ‘3.1 태극기독립만세운동’ 기자회견이 열렸다.ⓒ뉴데일리 공준표 기자
    ▲ 1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보수대연합’ 주최로 ‘3.1 태극기독립만세운동’ 기자회견이 열렸다.ⓒ뉴데일리 공준표 기자

    3.1절을 맞아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3.1 태극기 만세 운동’ 당시 희생당한 애국열사들을 추모하는 기자회견이 우파 단체 주최로 열렸다.

    애국단체 ‘보수대연합’은 1일 오전 9시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옆에서 ‘3.1 태극기독립만세운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김태룡 보수대연합 대표는 “일부 세력들이 국경일이나 특정일을 기해 위안부 소녀상 홍보에만 열중하며, 3.1운동 정신을 폄훼한다”면서 “(이번 기자회견은) 특정 세력에 의해 그릇된 3.1 태극기 독립 만세운동 교육이 시행되는 것을 바로 잡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룡 대표는 “또한 이번 기자회견은 3.1 태극기 만세 운동 당시 희생당한 애국 열사들을 추모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40대가 선봉에 나서 향후 젊은 청년들이 애국행사를 주관하는 운동이 시작됨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나온 구원회 보수대연합 사무처장은 추도사를 통해 “얼마나 아프셨습니까. 얼마나 고통스러웠습니까. 일제의 침략으로 나라 잃은 그 마음은 형무소의 차가운 바닥보다 더 차가웠으며 주권을 빼앗겨 우리글을 쓰지도 못했던 그 고통은 젖먹이에게 젖을 물리지 못하는 어미의 고통해 비교할 수 있을 것”이라며 3.1 만세운동으로 희생당한 순국선열을 기렸다.

    구원회 사무처장은 “기미년 3월 1일, 억압받던 조선 전국에 태극기를 휘날리며 대한독립을 목청 높여 외쳤던 수많은 순국선열들의 외침이 지금 이 자리에도 또렷이 들리는 것 같다”면서 “순국선열들이시여, 감사합니다. 당신들의 희생은 헛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발언을 맡은 김중호 보수대연합 정책위원장은 “여러 순국열사님들이시여, 오늘 우리 젊은이들은 당신께서 흘린, 고귀하고도 값진 피 덕분에 자유를 누리고 살고 있다”면서 “나라와 민족을 사랑한 당신께서 있었기에 지금의 우리가 있다”고 말했다.

  • ▲ 김태룡 보수대연합 대표가 기자회견문을 읽고 있는 모습.ⓒ뉴데일리 공준표 기자
    ▲ 김태룡 보수대연합 대표가 기자회견문을 읽고 있는 모습.ⓒ뉴데일리 공준표 기자

    김중호 위원장은 “지금 이 순간 우리나라는 외세가 아닌 안으로부터의 위기를 맞아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서 “부디 우리를 한 마음으로 묶어주셔서, 이 난국을 해치고 민주주의 수호와 안정된 나라를 이뤄갈 수 있도록 힘을 주시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김중호 위원장은 “독도 문제처럼 아직도 진행 중인 일본의 영토침략행위에 맞서 (우리가) 하나가 돼 맞서 싸울 수 있기를 소망한다”면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자신의 목숨까지도 아낌없이 내주신 순국열사들의 정신과 믿음을 이어받아, 하나된 강력한 민족정신을 발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보수대연합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의 만행을 엿볼 수 있는 ‘백기를 든 소녀 류코’ 사건을 언급하기도 했다.

    김태룡 대표는 “일본은 오키나와에도 1만여 명의 한국인들을 전쟁터로 내몰아 젊은이들이 숨졌다”면서 “일본군은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미군은 또깨비라고 속여, 미군에게 잡혀 먹히면 그 영혼이 도깨비가 된다며 잡히기 전에 가족 모두 함께 자살하라고도 강요했다”고 설명했다.

    김태룡 대표는“‘백기를 든 소녀 류코’는 동국 속에 피신한 마을 주민들을 살리려고 (도깨비로 알고 있던) 미군에게 ‘공격하지 말라’고 말하며, 무서워 눈을 가린채 백기를 들고 동굴에서 나왔다”면서 “당시 이 모습을 미군의 종군기자가 사진을 촬영했고, 일본의 만행이 전세계에 알려지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보수대연합은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의 결단을 촉구했다.

    보수대연합은 ▲전범국 일본의 진실된 사죄 ▲강제징용, 강제노역, 위안부 등으로 고통받는 이들에 대한 법과 양심에 따른 '합리적 보상' ▲전쟁범죄 인정 및 전쟁의 참혹함을 알리는, 역사 재평가 ▲독도 문제 등 역사적 영토침략행위 중단 등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