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글쓰기 핸드북 
     
     *좋은 글쓰기는 漢字혼용에서부터

     조갑제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정확하고 쉽고 짧게' 쓴다는 뜻이다. 그 가운데서도 정확성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여기에 하나를 덧붙인다면 '품위 있는 낱말의 선택'이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어의 구조를 분석해야 한다. '한국어=70%의 漢字語+30%의 한글語'이다. 한자어에는 복잡한 것을 단순화시키는 개념어를 비롯한 명사가 많다. 國家, 民主主義, 市場, 電力 같은 단어들이다. 한글語는 '바람, 눈물, 덥다, 좋다' 따위의 자연현상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원초적 의미語가 많다.
     
      漢字語를 한글로 표기하는 것은 발음부호를 붙이는 것인데 의미전달에 지장을 줄 때가 많다. 同音異義語가 많기 때문이다. '전력이 줄었다'고 할 때 그 '전력'이 電力인지 戰力인지는 앞뒤를 맞춰보아야 알 수 있다. '부상했다'고 써놓으면 '다쳤다'는 뜻인지 '떠올랐다'는 뜻인지 알 수가 없다. 앞뒤를 연결시켜보면 알 수 있겠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암호를 푸는 행위이지 독서가 아니다. 시간 낭비이다.
     
      글의 1차적 목적이 정확한 의미전달이므로 漢字와 한글 혼용을 버리고 한글專用으로 가는 것은 한국어의 약70%를 암호로 만드는 母國語 파괴행위이다. 지금처럼 한글專用이 오래 간다면 한국어는 이런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한국어=70%의 암호+30%의 본능(감정+자연현상)語'
     
      언어는 인간의 思考를 지배한다고 한다. 암호와 본능이 뒤섞인 정신세계를 생각해보라. 안개속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막연하고, 뜨거운 감정과 즉흥적인 본능이 분출하는 머리속! 맑은 논리와 깊은 성찰을 통해서만 우러나오는 창조와 예술이 이런 정신에서는 생겨나지 않는다. 한글專用은 인간을 一次元的인, 가볍고 천박한 존재로 만들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거짓선동에 잘 넘어간다. 한국 사회의 두 가지 흐름인 좌경화와 저질화의 바탕에는 漢字말살에 의한 理性의 실종사태가 있다.
     
      한자를 모르면 우리나라 단어의 약70%, 그것도 고급의 개념과 思惟를 담고 있는 낱말의 뜻을 정확히 모르게 된다. 한자를 모르면 철학서, 역사서, 법률서적을 읽을 수 없다. 전통문화가 들어 있는 정보창고를 열 수 있는 열쇠가 없으면 뿌리 없는 인간이 된다. 이런 사람들이 쓰는 글도 가볍고 잘 흔들릴 것이다. 예컨대 한자를 모르면 이런 글도 쓸 수 없다.
     
      < 경주박물관에 있는 新羅聖德大王神鐘은 별명이 奉德寺鐘이고 속칭은 에밀레종이다. 이 종에 새겨진 640여자의 頌詞(송사)가 있다. 그 가운데 '圓空神體'(원공신체)라는 말이 있다. 이 범종이 그냥 종이 아니라 그 형상이 둥글고 그 속이 비어 있으므로 바로 이것이 '神의 몸'이라는 뜻이다.
      神의 속성을 圓空, 즉 둥글고 속이 빈 존재로 규정한 것이 참으로 의미 깊다. 원만하면서도 속이 비어 있는 사람을 상상해보라. 그런 사람은 하느님을 닮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을 형상화한 것이 에밀레종이고, 神의 모습이다. 神은 둥글둥글해서 누구와 싸우지 않으며 속이 텅 비어 있어 모든 것, 즉 갈등과 淸濁까지도 다 받아들여 하나의 질서로 융합한다. 에밀레종은 바로 그런 神의 소리인 것이다>
     
      한자를 멀리하고싶은 사람은 글을 아예 쓸 생각을 말아야 한다.
     
      좋은 글은 主題가 선명하고 구체적이다. 그런 글은 읽고나면 가슴에 남는 그 무엇이 있다. 그것은 감동일 수도 있고 정보일 수도 있다. 관념적인 글보다는 사례와 사실이 많은 구체적인 글이 좋은 글이다. 적절한 통계와 사례가 글의 설득력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글은 리듬과 흐름이 있어야 한다. 독자가 물흐르듯 편하게 읽어내릴 수 있어야 한다. '또, 그러나, 반면, 그런데' 같은 말들이 문장 앞에 붙으면 글의 흐름이 끊어진다. 글을 써놓고 소리 내어 읽어가면서 고쳐보라.
     
      "그는 시합에 나가기만 하면 금메달을 딸 정도로 실력이 좋았다"식 문장을 버리자. 이런 문장은 자신이 쓴 글을 자신이 강조하는 일종의 宣傳文이다. '그는 시합에 나가기만 하면 금메달을 따왔다'고 쓰면 되지 여기에 굳이 '~정도로 실력이 좋았다'는 의미를 독자들에게 강제할 필요가 없다. 글은 담백한 마음으로 써야 한다. 이렇게 해석하라, 저렇게 보라는 식으로 글의 의미를 강조, 독자들의 몫까지 빼앗아갈 필요가 없다. 한국인의 글은 대체로 설명과 강조가 지나치다.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많은 정보와 좋은 문장과 교양 있는 낱말들이 入力될 때 名文이 자연스럽게 出力된다. 많은 入力은 결국 독서를 통해서 하는 것이다. 名文과 名연설을 많이 읽자. 책상 위에 항상 국내외의 名言集을 두고 심심할 때 읽어보자.
     
      좋은 글은 읽는 이들을 의식하고 계산하며 쓴 글이다. 글의 소비자를 무시하고 써대는 글은 아무도 읽어주지 않는다. 자기가 쓰고싶은 글보다 독자들이 읽고싶은 글을 쓰자. 좋은 글은 타이밍이다.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을 빨리 써야 많이 읽힌다. 널리, 빨리 읽히는 글이 대체로 좋은 글이다.
     
      결국 아는 것만큼 쓸 수 있다. 많이, 정확히 알아야 잘 쓸 수 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 쓰려고 할 때 기교가 등장한다. 취재와 調査와 분석을 잘 하면 좋은 글은 의외로 쉽게, 빨리 쓰여진다.
     
    <조갑제 /조갑제닷컴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