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교육감 선거 후보 단일화에 합의한 대가로 곽노현 서울시교육감 측으로부터 거액의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가 올해 6월부터 서울시교육청 소속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박 교수가 서울시 교육청 소속 자문위원직을 맡게 된 것이 후보 단일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구체적인 경위를 캐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이진한 부장검사)는 27일 박 교수와 그의 동생을 서초경찰서 유치장에서 데려와 곽 교육감 측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받은 경위와 배경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박 교수가 지난해 치러진 교육감 선거에서 곽 교육감과 후보 단일화에 합의한 대가로 올해 2∼4월 곽 교육감 측근 K씨로부터 자신의 동생을 통해 3차례에 걸쳐 총 1억3천만원을 전달받은 혐의를 잡고 전날 오전 박 교수와 그의 동생을 자택에서 체포했다.

    K씨는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곽 교육감과 절친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 교수 등을 상대로 후보 단일화 대가로 금품을 받았는지, 대가성이 있다면 정확히 어느 시점에 양측간 합의가 이뤄진 것인지 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박 교수가 올해 6월 중순 서울시교육청 소속 서울교육발전자문위원회 자문위원에 위촉된 배경도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후보 단일화 당시 직을 주기로 한 것인지 아니면 이후 그냥 위촉한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교육발전자문위원회는 직접적인 정책 결정 권한은 없지만 교육청의 교육발전 정책 수립 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문위원에게는 일정한 월급이 지급되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경력이 될 수 있어 교육계 인사들에게는 '탐나는' 자리로 알려졌다.

    검찰은 체포 시점부터 48시간 안에 구속영장을 청구해야 하는 만큼 이날 중 박 교수 등에 대한 신병처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날 박 교수 측에 금품을 건넨 당사자로 알려진 곽 교육감의 측근 K씨에게 소환을 통보했으나 K씨는 불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조만간 K씨에게 다시 소환 통보를 해 금품 전달 과정과 곽 교육감의 개입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곽 교육감의 최측근이 연루된 만큼 곽 교육감 본인이 이 같은 금품 거래 사실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직접 소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곽 교육감의 소환 가능성에 대해 "수사에 관한 사항이라 노 코멘트"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곽 교육감은 이날 서울 모처에서 주요 간부 등과 만나 대응 방안과 입장 표명에 담을 내용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곽 교육감은 휴일인 28일 오후 서울시교육청에서 검찰 수사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