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북한은 FAO로부터 40만 달러 상당의 구제역 방역지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2009년 북한에서 구제역 발생 당시 텅빈 돼지 축사.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2월, 우리 정부의 구제역 방역지원 제안을 받아놓고도 묵묵부답이던 북한이
결국 식량농업기구(FAO)로부터 40만 달러를 지원받을 것으로 보인다.<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지난 2일 <후안 루브로스> FAO 수의국장에게 받은 이메일을 공개, 이 같은 사실을 전했다.<후안 루브로스> FAO 수의국장은 이메일에서
“현재 급속히 퍼진 북한지역 내 구제역의 감염검사, 방지책 등을 포함한
지원대책(Project proposal)을 검토하고 있으며
40만 달러를 관련 예산으로 책정했다”고 밝혔다.FAO 측은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방역단을 북한에 보내
농장 내 안전, 구제역 관련 장비 사용법, 동물 관리, 표본 채취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FAO 측은 이와 함께 앞으로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의 구제역 방제 및 예방을 위한 모금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한다.FAO 측에 따르면 현재 북한의 구제역 발병 상황은 심각한 상황이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지난 1월 8일 평양의 한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발병한 이래
평양 력포 구역, 락랑구역, 황해북도 중화, 황해북도 강남 지역을 거쳐
DMZ 인근지역까지 퍼졌다.이로 인해 돼지 1,688마리가 구제역에 감염됐고, 144마리가 폐사했다.
2,154마리는 살처분 됐다.구제역은 소, 돼지, 염소 등 발굽이 갈라진 동물이 걸리는 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은 악성 가축전염병이다.
가축들이 이 병에 걸리면 입술, 혀, 발, 젖꼭지 등에 물집이 생기고,
끈적끈적한 침을 흘리며 체온이 올라가고 발을 절뚝거리는 증상을 보인다.FAO 측은 구제역의 전염성이 매우 높은 만큼
우리나라 등 인접 국가들의 주의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FAO 측의 요청에 우리 정부는 지난 2월 24일 북한에 구제역 방역지원을 제안했으나
북한은 지금까지도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