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만 건국사 (75)
‘소련 강점’ 5년만에 북한 해방 … 이승만, 유엔군정 방침에 격분 "북한에 손대지 말라" … 평양에 날아가 "자유통일 북한 민주화" 선거 선언
압록강 물을 담은 국군의 수통을 받아들자 이승만은 하나님께 감사 기도부터 하였다.6.25가 터지자 ”이것은 대한민국 통일 전쟁이다“ 선언했던 이승만, 그 통일이 눈앞에 왔다. 그것은 대한민국 건국이 그러했듯이 하나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인데, 문제는 뜻밖에도
2024-03-27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74)
"중앙청엔 국군이 먼저 태극기를!"… 눈물의 환도식 … "38선은 국군이 먼저 돌파하라" 이승만 붓글씨 명령서 … 김일성=RUN일성, 자동차 버리고 만주로 도망 … 국군은 "압록강 물을 대통령에게"
인천 상륙에 성공한 맥아더는 연합군에 명령을 내린다. “즉각 서울을 점령하고 남으로 전진을 계속하라” 제10군단은 경인가도를 동진(東進)하여 수도 서울을 조속히 탈환해야 하며, 적의 보급선을 차단하고, 낙동강 전선에서 북진하는 워커 사령관의 제8군과 합류하도록
2024-03-22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73)
특공대 자결 '팔미도 등대' 드라마 ··· 맥아더 '멸공전쟁’ 다짐, 인천상륙작전 성공 ··· 이승만 “압록강 두만강까지 가자”
맥아더는 약속을 지켰다. 이승만과의 약속을!“대한민국이 공격을 받는다면 미국 캘리포니아가 공격받은 것처럼 달려와 지켜주겠다“ 맥아더는 이 약속을 두 번이나 했다.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선포식에 참석하여 ’안보‘를 걱정하는 73세 노대통령 이승만을
2024-03-13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72)
백선엽의 다부동 결전 “내가 물러나면 나를 쏘라” ··· 학도병-‘지게부대’의 헌신 ··· 이승만 부부, 밤새 편지 37통 쓰다
“우리는 전 세계 우방들에게 분명히 밝혀두고 싶은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어떤 나라든지 이 전쟁을 중재하기 위한 계획이나 제안을 내놓기 원할 경우, 반드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한국정부에 제시해야 된다는 점이다...(중략)...우리의 우방들이 이 전쟁에 참여해서 우
2024-03-02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71)
“38선 없어졌다” 이승만, 트루먼에 ‘통일전쟁’ 선언 (영문편지 전문) ··· 망명 제의 미국대사에 권총 뽑아 “다시는 망명정부 안세운다”
“38선이 사라졌다!” 이승만은 무릎을 쳤다.해방순간 난데없이 한반도의 허리를 끊은 38선, 미국이 긋고 소련이 봉쇄한 국경 아닌 국경! 이승만은 해방3년간 38선을 해소하는 방안에 골몰, 이런저런 대책을 내놓았다. 소련의 공산화 ‘꼼수’ 미-소공동위원회 협상이 예상대
2024-02-23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70)
[런승만]? 피난길 이승만 “기관차를 서울로 돌려라” ··· 트루먼, 즉각 ‘유엔군’ 참전 결정, 왜? ··· 약속 지킨 맥아더, 한강서 인천상륙작전 구상
1950년 6월25일 일요일 아침, 이승만 대통령은 경복궁 경회루로 나갔다. 비가 올 듯 잔뜩 흐린 하늘 아래 일렁이는 연못 물결에 낚시대를 드리운 그는 눈을 감는다. 이승만의 낚시질은 반은 명상, 반은 기도였다. “주여, 이 나라를 구하소서. 적의 공습이 임
2024-02-15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69)
6.25는 ‘한국전쟁’ 아니다! 해방즉시 5년 준비한 ‘스탈린의 전쟁’! ··· 미국은 소련과 평화흥정 ··· 이승만은 ‘이념전쟁’ 세계대전을 경고
6.25는 ‘한국전쟁’이 아니다. 한반도에서 전쟁했다고 다 ‘한국전쟁’인가. 일본이 침략한 청일전쟁도 러일전쟁도 한반도에서 싸웠지만 ‘한국전쟁’이 아니듯이, 소련이 침략한 6.25가 한반도에서 전쟁을 벌였다고 ‘한국전쟁’일 수가 없다. 그것은 처음부터
2024-02-04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68)
김구 암살 ··· 안두희는 왜 쏘았나? ··· 거물간첩 '명동 백작' 성시백도 잡혀 죽다
스탈린과 김일성이 ‘6.25 침략’을 감행하기 꼭 1년 전, 1949년 6월26일 경교장에서 백범 김구(白凡 金九)가 암살된다.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고 건국이후 건국을 부정하며 죽기직전까지 ‘남북협상’을 외치던 김구는 ‘임정집권’이란 집념을 버리지 못한 채 그것 때문
2024-01-26 인보길 기자 -
다큐 두 번째 이야기 <이승만의 독립외교 33년> 개봉
"자유 대한민국의 기적은 이승만이었기에 가능" · · · 美 외교현장 최초 공개도
이승만 전 대통령의 독립운동 발자취를 연구해 특별 제작한 다큐멘터리 '이승만의 독립외교 33년'이 12일 개봉했다. 이는 지난해 9월 개봉한 '이승만의 하와이 30년'에 이어 두 번째 작품이다. 건국이념보급회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
2024-01-14 진선우 기자 -
이승만 건국사 (67)
역사적 농지개혁, 귀속재산 불하, 의무교육 실시 ··· 노예농민 해방, 자유경제 자본주의체제 구축 ··· '똑똑한 국민' 만들기로 대한민국의 '기적 군단' 키워내다
어떻게 다시 세운 나라인가. 고종의 ‘매국’(賣國)부터 이승만의 ‘복국’(復國)까지 참 멀고도 먼 여정이다. 그 나라는 29세 이승만이 옥중에서 쓴 책 [독립정신]에서 설계한 그대로 치열한 독립운동을 하여 마침내 반세기 만에 젊은 날의 꿈을 실현한 자유민주공화국이다.해
2024-01-08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66) 트루먼, 한국-중국서 미군 동시 철수 ”방어 포기" 선언...이승만, 한미동맹 요구 ’청년방위대-학도호국단‘ 창설...장세스 대만 피난...한국군 2개대대-해군함정 월북사건 터지다
미군은 언제 철수할 것인가. 건국직후부터 미군이 철수하려는 움직임을 잘 아는 이승만은 미군철수를 기정사실로 상정하고 대책을 서두른다. 우선 미군정에서 인계받은 국방경비대 이름을 ‘국군’으로 고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서 10여개 청년단체의 통합작업에 나섰다.해방3년간 공산
2023-12-22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65) 스탈린이 결재한 국회프락치사건...김구는 남북협상 주장...이승만은 ”죽어도 자유민, 살아도 자유민“ 국회의원들 교육시키다
건국1년후 1949년 6월에 일어난 국회 프락치사건은 한마디로 소련 스탈린의 작품이다.3월 파리 유엔총회 개막에 맞춰 ‘소련군의 북한 철수와 미군의 남한철수’를 제의, 국제적 선동을 시작한 스탈린은 대한민국 국회내 프락치 의원들을 공작하여 미군철수 결의안을 제기하도록
2023-12-12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64) 반민특위의 친일파 청산...이승만 “진짜 친일파는 황제와 매국노들...피해자 국민들만 두 번 죽이지 말라”...특경대 독주에 해산명령
’친일파 청산‘ 문제는 해방순간부터 독립운동가들이 제기한 최대의 이슈 가운데 하나다.앞서 ’송진우 암살‘ 부분에서 언급했지만 그때 ’국일관 사건‘이 ’친일파‘에 대한 독립운동가들의 인식문제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요약하면, 1945년 11월 중국에서 귀국한 김
2023-12-08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63) 미군 “한국은 지옥, 떠날 수만 있다면 소련이 남한 점령해도 좋다”...이승만, “미국의 분단책임상 철수 안 된다” 송현동 땅을 주거단지로 제공
건국선포식 즉시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과 행정이양 협정을 추진한다. 1948년 8월15일 자정을 기해 미군정이 장악했던 모든 통치권을 이양 받는 ‘한미간 통치권 이양 및 주한미군에 관한 협정’으로 독립국가의 주권이양과 미군주둔 문제가 각서로 교환되었고, 또 하나
2023-11-30 인보길 기자 -
이승만 건국사 (62) 김구, 유엔에 “대한민국 승인 말고 임시정부 승인해달라” 요청...유엔, ‘대한민국이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결의, 48대6 승인
유엔 창설이래 세 번째 총회는 1948년 9월21일 파리에서 열렸다. 이 총회에 이승만 대통령은 신생 대한민국의 운명을 걸었다. 유엔의 국가 승인, 이것이 독립건국의 최종 절차이다. 유엔 총회의 승인을 받으려면 세계를 지배하는 주요 블록 지도국들을 공략하지 않으면 안된
2023-11-21 인보길 기자